뉴욕 : 4월02일, PM 10:53:07 파리 : 4월03일, AM 05:53:07 서울 : 4월03일, PM 12:53:07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뉴욕필진
·Obi Lee's NYHOTPOINT (103)
·강우성의 오!필승코리아 (40)
·김경락의 한반도중립화 (14)
·김기화의 Shall we dance (16)
·김성아의 NY 다이어리 (16)
·김은주의 마음의 편지 (45)
·김치김의 그림이 있는 풍경 (107)
·등촌의 사랑방이야기 (173)
·로창현의 뉴욕 편지 (496)
·마라토너 에반엄마 (5)
·백영현의 아리랑별곡 (26)
·부산갈매기 뉴욕을 날다 (9)
·서영민의 재미있는인류학 (42)
·신기장의 세상사는 이야기 (17)
·신재영의 쓴소리 단소리 (13)
·안치용의 시크릿오브코리아 (38)
·앤드류 임의 뒷골목 뉴욕 (37)
·제이V.배의 코리안데이 (22)
·조성모의 Along the Road (50)
·차주범의 ‘We are America (36)
·최윤희의 미국속의 한국인 (15)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 (406)
·한동신의 사람이 있었네 (37)
·황길재의 길에서 본 세상 (244)
·훈이네의 미국살이 (115)
·韓泰格의 架橋세상 (96)
韓泰格의 架橋세상
독일 프랑크푸르트 은행주재원 생활 4 년, New York 에서 20年 동안 生活하면서 뉴욕 최대일간지인 ‘New York Daily News’와 美 최대은행 ‘Bank of America’ 에서 근무했습니다. 'Bridge Enterprises'라는 사업체를 통해 韓國과 美國의 架橋를 자임한 이민1世입니다. 유럽과 美洲 양 대륙에 살아 본 사람으로써, 100개 이상의 종족이 어울려 살고 있는 美國과 뉴욕, 이민가정 子女들이 겪는 이야기를 전해 드리겠습니다. 逢南 韓 泰格(www.TedHan.com)
총 게시물 96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Syria와 수도(首都) Damascus

글쓴이 : 韓 泰格 날짜 : 2013-09-20 (금) 07:27:45

 


필자의 사무실이 있는 Bayside는 동양인(東洋人)들로만 북적거리는 Flushing과는 달리 아직은 백인들이 다수(Majority)를 이룬다. 주로 이탈리안, 그리스인들이다. Bayside의 주 도로(主道路)는 Bell Blvd.다.

 

 

Bell Blvd.는 북부 주택가에서 시작하여 퀸즈가 시작되는 Long Island City에서 Woodside, Jackson Heights, Corona, Flushing을 관통(貫通)하여 Long Island의 Nassau County를 지나 Suffolk County까지 73 마일(117Km)을 잇는 Northern Blvd.(New York State Route, NY 25A)를 교차(交叉), 남북으로 난 5~6마일 정도 되는 거리의 길이다. 따라서 Bell Blvd.도 Long Island의 젓줄이라고 할 Northern Blvd.에 가까워지면, 상가(商街)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LIRR 기차 정류장도 있어 역세권(驛勢圈)은 활기가 넘쳐난다.

 

그곳의 레스토랑이나 바(Bar)을 찾는 고객은 맨해턴으로 출퇴근하는 셀러리맨들도 있지만, 단골들은 아무래도 필자처럼 Bell Blvd.에서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Local 상점 주인들이 주(主)를 이룬다. 이들은 땅거미가 지게되면 하루의 피로를 풀기 위해 같은 거리에 있는 식당이나 ‘주점(酒店)’으로 몰려든다.

 

즐비한 레스토랑 가운데 동네 비즈니스맨들이 가장 많이 몰려드는 바는 Mike가 경영하고 있는 Trattoria 35 레스토랑이다. 이 레스토랑이 다른 업소보다 인기가 높은 이유는 Mike의 인간적인 면모(面貌) 때문이리라. 입구에서 손님을 맞이하는 그의 제스츄어는 손님들에게 이딸리안의 특유의 따뜻한 면을 가감없이 전달한다. 단골까지는 아니더라도, “잊을 만하면 들린다”고 불평아닌 불평을 듣는 필자는 그의 “아낌없는” Hug를 기피(忌避)하는 손님을 본 일이 없다. 이젠 그의 Hug는 그의 레스토랑의 Branding이 되었을 정도다.

 

 

주말이면 발디딜 틈조차 없는 바(Bar) 주변에는 소수자-Minority-로 있는 “주변인(周邊人) 또는 국외자(局外者)” 두 명이 있다. 이 레스토랑에서 두 블락 떨어진 곳에서 고급 Hair Salon을 경영하는 시리아(Syria)인 Michael Alick과 Korean 인 필자다. 공통점이나, 어울릴 것이라곤 별로 없어 보이는 이 두 사람은 백인들 틈새에서 “뭉쳐야 한다는 소수자”의 인식때문인지, 짧은 시간에 아주 가까워졌다!

 

 

 

<이하 사진 www.en.wikipedia.org>

 

Bayside 돌아가는 일이라면, 필자를 2회에 걸쳐 표지인물로 다루어 주었던 Bayside Times를 읽을 필요없이 그의 입만 빌리면 요약된 타운의 “믿을 만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통(正統)한 소식통 이었건만, 유쾌하기 그지없던 Michael이 요즈음 말수가 줄어들었고 고국 Syria에 대하여는 함구(緘口)하고 있다!

 

인접국가 터키(Turkey)에서 1년 넘도록 난민(難民)생활을 하던 삼촌내외와 조카들을, 가까스로 뉴욕으로 모셔 오는데 성공, 소유하고 있는 Upstate 가옥으로 안전하게 모셨다는 말이외에는…

 

요즈음 뉴욕타임즈를 포함한 미국신문들은 지중해연안 중동소국(中東小國) 시리아를 가운데 두고, 강대국(强大國)인 미국의 오바마대통령과 러시아의 푸틴대통령간에 벌이고 있는 “샅바싸움”에 지면을 연일 도배하고 있다!

 

 

 

 

시리아정부가 반정부세력에게 화학무기(化學武器)를 사용한 것에 대하여, 미국을 위시한 서방세계가 어떻게 응징(膺懲)할 것인가에 대한 예상 또는 관련기사는 일반 대중매체에 맡기기로 하고, 오늘 필자는 시리아와 그 수도(首道) 다마스커스(Damascus)가 지구상에서 어떤 곳인지 알아 보기로 한다.

 

다마스커스라는 도시가 역사에 등장하기 시작한 때는 기원전 3,000년 전이며, 지정학적으로는 동양과 서양 그리고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잇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곳이었다. 이 도시 외곽 Tell Ramed 유적을 발굴한 결과, 이 지역은 지구상 수많은 도시가운데 인류가 가장 오래 전(기원전 10,000~8,000)에 정착(定着)하여 계속 살아 왔던 곳으로 밝혀졌다. 다시 말하면, 현재 사람이 살고 있는 도시들 가운데, 가장 “나이”가 많은 도시로 밝혀졌다.(The oldest continually inhabited city).

 

 

 

 

중세시대에는 수공예업(手工藝業)이 발달하였고, 교역(交易)의 중심지로, Silk Road의 시발점이자, 종착역이었다.(지금도 다마스커스의 Bazaar-시장-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이 지역은 역사상 그리스 헬레니즘문명, 로마문명, 비쟌틴문명이 지나갔고 현재 이슬람문화권(文化圈)하에 놓여있다. 비록 지금은 이슬람문화권아래있으나, 도시는 로마제국이 만든 청사진에 따라 남과 북, 동과 서를 획정, 도시계획이 되었음을 한 눈에 알 수 있고, 비쟌틴 문명의 흔적이 도시 곳곳에 즐비하다.

 

고고학(考古學)적으로는 인류역사의 요람지(Cradle)이며, 과학과 예술의 등불(Beacon)로, 그리고 인류역사의 백과사전(Encyclopedia)처럼 한 곳에서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지역으로 찬사를 받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제1차 세계대전 전까지 Ottoman 제국의 영토였던 이 지역이 패전국(敗戰國) 독일(獨逸)편에 섰던 Ottoman제국도 패전국으로 전락(轉落), 분할(分割-Partition) 당하게 되어 당시 세계 열강(列强)이었던 영국과 불란서의 지배하에 놓인다.

 

영(英)불(佛)이 분할하였던 나라들이 독립하고, 지난 2,000년동안 지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이스라엘이라는 신생국(新生國)이 탄생(誕生)함으로써, 오늘날 인류의 두통거리인 “Near or Middle East(近東, 中東)문제”가 배태(胚胎)되는 계기가 된다.

 

20세기들어 지난 100년동안, 인류문명과 역사의 요람(搖籃)이, 열강과 수퍼파워(Superpower)가 힘을 겨루는 전장(戰場)터, 화약고(火藥庫)가 되어 버린 것이다.

 

독재자의 탐욕(貪慾)과 수퍼파워의 판단착오로 인하여 약소국 양민(良民)들의 희생(犧牲)이 더 이상 없기를 기원하여 본다.

 

 

逢 南 韓 泰格(www.TedHan.com)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