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潘基文) UN사무총장이 오는 4월 11일 실시하는 제19대 총선투표에 참여하기위해 5일 국외부재자신고를 마쳤다.
‘글로벌웹진’ 뉴스로(www.newsroh.com)는 반기문 총장과 유순택 여사와 뉴욕에 거주하는 자녀들이 이날 19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투표를 위해 국외부재자(國外不在者) 신고를 했다고 전했다.
뉴욕총영사관 재외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진승엽)는 이날 반 총장이 UN 집무실에서 신고양식을 작성해 보내왔다고 밝혔다.
반기문 총장은 “그동안 유엔사무총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외국에 있어 국내 선거에 참여할 수 없었으나 재외국민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어 처음 실시되는 국회의원선거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재외국민 선거는 영주권자의 경우 본인확인을 위해 직접 총영사관을 방문, 제출해야하지만 반 총장과 같은 장단기 체류신분을 가진 국민들은 우편을 통해 신청 접수할 수 있다.
한편 신고·신청기간이 약 한 달여 남은 4일 현재 뉴욕총영사관 관할지역의 참여율은 예상 재외선거권자의 1%에 해당하는 1455명이며 이중 국외부재자는 1,245명, 재외선거인은 210명으로 기대치를 크게 밑도는 실정이다.
뉴욕=노창현특파원 croh@newsroh.com
<꼬리뉴스>
재외국민 저조한 등록률 예고된 결과
뉴욕지역의 유권자 등록률이 크게 저조한 것은 홍보부족도 있지만 50일이 지나도록 등록한 영주권자 국민들이 210명밖에 안된 것은 예고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우편 접수가 가능한 국외부재자와 달리 영주권자 국민들은 본인확인을 위해 직접 뉴욕총영사관에 나와 여권 등을 제출하고 접수하도록 돼 있다. 문제는 총영사관이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맨해튼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뉴욕시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유권자들도 총영사관에 오기 위해선 극심한 교통제증으로 반나절 이상 시간을 내야 하고 시간당 3만원이 넘는 주차비도 큰 부담이다. 노인이나 장애인들에겐 버스와 전철을 갈아타야하는 대중교통이 사실상 그림의 떡이다.
하물며 먼 지역의 유권자들은 아예 등록할 엄두도 못내고 있다. 뉴욕총영사관이 관할하는 지역은 뉴욕주는 물론, 뉴저지 코네티컷, 펜실베니아 등이고 같은 뉴욕주라 하더라도 나이아가라 폭포가 있는 버팔로 지역은 승용차로 8~9시간 거리이다. 당일 접수가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해당지역 유권자들은 “재외국민 참정권을 주면 뭐하냐. 공휴일 접수가 가능하지도 않은데 유권자 신고를 위해 이틀, 투표를 위해 이틀씩 소비해야 한다면 하지 말라는 것과 같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맨해튼에서 여섯시간 거리인 시라큐스의 정이환 씨는 “접수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먹고살기 바쁜데 어떻게 일박이일로 휴가를 내겠냐?”면서 “최소한 접수는 직접 하더라도 투표만큼은 선진국들처럼 우편이나 온라인투표를 허용해야 할게 아니냐. 대한민국이 온라인강국이라면서 그런 것 하나 해결못한다는건 말이 안된다”고 일침을 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