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등 한인들이 많은 미국의 선거구에서 투표시 한국어 지원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 문제가 제기됐다.
시민참여센터는 20일 뉴욕시선거관리위원회가 주최한 언어자문지원프로그램 회의에 참석, 웹사이트의 한글지원 서비스와 한인 유권자의 투표 불편 등의 문제들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선관위 언어자문지원 프로그램은 2002년 ‘Help America Vote Act' 법안이 통과된 후, 뉴욕시 정부가 운영하고 있다. 투표용지 번역을 비롯, 통역관 배치, 선거핫라인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시민참여센터의 노채원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는 뉴욕시 선관위 웹사이트의 한국어 서비스가 대부분 이뤄지지 않고 번역부분도 지극히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한인유권자의 투표불편을 사례로 소개하며 시정을 촉구했다. 한인타운인 플러싱에 거주하는 이 유권자는 투표소가 3~40분 거리에 있는 자메이카로 배정돼 불편을 겪은 케이스다.
선관위 측은 현재 뉴욕시 정보기술지원부와 협력해서 새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년 9월 7일에 새 웹사이트가 올라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투표소 배정문제의 경우, 선거구 재조정 때문에 컴퓨터 오류일 수 있다며 다시 확인하겠다고 답했다.
시민참여센터가 지적한 세번째 문제는 유권자등록문제로 투표하고도 무효가 된 케이스다. 뉴욕시에서는 주소변경신고를 못해도 당일 이사한 곳의 투표소를 찾아가서 선서투표(Affdavit ballot)를 하면 투표를 인정해주고 주소변경까지 이루어진다.
그러나 한 유권자는 제대로 투표장소를 찾았지만, 같은 투표소내에서 Election District 가 잘못되어 무효투표로 처리됐다는 편지를 받았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시민참여센터는 “자신이 속한 투표소를 찾았는데도 선관위 직원이 잘못된 ED를 잘못 기재해 이런 일이 발생했다”고 지적하고 “이는 유권자의 투표권을 박탈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현재 한국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투표소 수는 퀸즈 지역은 93개에 달하지만 맨해튼은 한곳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임지환특파원 jhlim@newsroh.com
<꼬리뉴스>
뉴욕선관위 한국어통역관 모집
뉴욕 선관위에서 차기 선거를 위해 한국어 통역관을 모집하고 있다. 자격 요건은 만 18세 이상 뉴욕시 거주자로 한국어와 영어를 능통하게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통역관으로 선발돼 첫 교육과정을 마치면 일당 25 달러가 지급되고 선거일에는 200달러를 받게 된다. 2번 이상 일할 경우 35 달러의 보너스가 추가로 지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