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에 이어 뉴욕에서 동해병기법안이 발의된 가운데 뉴욕타임스도 동해표기 문제를 본격 거론하기 시작했다.
뉴욕타임스는 12일 A섹션 20면에 동해병기 법안이 뉴욕주 상하원에서 발의된 소식과 함께 “북한은 동해를 ‘코리아 동해(East Sea of Korea)’로 하기를 원한다”고 전해 눈길을 끌었다.
이와 함께 맨해튼과 동쪽의 브루클린을 나누는 ‘이스트 리버(East River)’의 예를 들어 살짝 비꼬는듯한 모습도 보였다. 타임스는 “만일 모든 정치가 국내에 국한된다면 브루클린 주민들은 맨해튼 사이의 강 이름을 다시 지으려고 로비를 할 것이다. 그러나 맨해튼 주민들에게 그것은 이스트 리버일뿐”이라고 지적했다.
타임스는 “뉴욕의 정치인들이 버지니아 정치인들을 따라 한국과 일본 사이의 바다명칭 다툼에 개입했다”면서 “이들이 뉴욕에 있는 10만명의 한국인과 2만5천명의 일본인 중 어느쪽을 감싸야 할지는 명백하다“고 말했다.
지난 7일 뉴욕주상원에 동해병기법안을 발의한 토비 스타비스키 상원의원(플러싱)은 “일본해는 한국인들에게 압박과 식민, 폭력의 시대를 떠올리게 한다”면서 “우리는 일본해를 바꾸자는 것이 아니라 동해를 추가하자는 것이다. 59가 다리(퀸즈보로 브리지)에 에드 코치 전 시장 이름을 넣은 것과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역시 주하원에 법안을 발의한 브라운스타인 의원은 “동해병기 법안은 7월 1일이후에 발행되는 모든 교과서에 동해병기를 하자는 것”이라고 말하고 힘겨운 싸움이 될 것을 예상했다.
타임스는 “법안이 통과된다 해도 뉴욕주의 600개 교육구에서 실행되야 하는 문제가 남는다”며 “버지니아의 경우 테리 맥컬리프 주지사가 법안에 사인할 것으로 보이지만 새 교과서가 채택되려면 주교육국 검토과정을 거쳐야하기때문에 3년은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과련, 버지니아 교육국의 찰스 파일 대변인은 “교육국이 새 교과서를 승인한다고 해서 버지니아의 132개 교육구 모두 새 책을 구입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뉴욕=임지환특파원 newsroh@gmail.com
<꼬리뉴스>
“북한은 ‘코리아 동해’ 원해”
타임스는 “한국인들은 동해가 수세기동안 사용됐으며 일본해는 일제 식민지역사이후 퍼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일본은 19세기초부터 일본해가 쓰였다고 말한다”고 양쪽의 입장을 전했다.
동해법안에 대해 한국총영사관의 이두영 영사는 “한일상호간의 합의안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동해가 일본해와 동시에 표기되야 한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반면 에이 코이치 일본총영사관 대변인은 “일본해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유일한 명칭이다. 과거의 식민지역사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러시아 UN대표부의 경우 동해 법안에 대해 코멘트를 사양했지만 북한대표부에서는 ‘코리아동해(East Sea of Korea)’로 불리기를 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국제수로기구(IHO)는 지난 2012년 총회에서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였던 1929년 승인한 ‘일본해’ 논의를 거부했지만 차기 총회가 열리는 2017년 이 문제가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