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노담화는 계승하지만 위안부동원의 강제성은 없다?’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위안부 전략’은 ‘철지난 유행가’의 되풀이로 나타났다. 총리 취임이후 위안부의 강제동원이 근거없다고 주장하면서도 ‘고노담화’를 계승한다는 아베 신조의 모순된 ‘이중 전략’이 7년전의 재탕(再湯)이라는 사실이 당시 뉴욕타임스 보도로 확인됐다.
‘글로벌웹진’ 뉴스로(www.newsroh.com)는 7일 뉴욕타임스가 2007년 3월16일에 ‘아베, 일본의 여성 납치 성노예 증거 없어’라는 제목으로 오늘의 아베와 놀랍도록 흡사한 행보(行步)를 기사화했다고 전했다.
2006년 9월 처음 총리에 취임한 아베 신조의 궁극적인 목표는 일본의 재무장을 위한 헌법개정이었고 그 방편은 일본의 과거 역사 지우기였다. 한가지 아킬레스 건은 일본군이 강제동원한 위안부문제였기에 그는 2007년초부터 미연방하원에서 추진된 ‘위안부결의안’이 눈엣가시로 여겼다.
뉴욕타임스의 보도시점은 그해 2월 하원청문회에 이용수 할머니 등 두명의 한국인과 한명의 네덜란드 위안부피해자가 역사적인 증언을 한 후 위안부결의안에 참여한 의원수가 20여명으로 늘어날 무렵이었다. 뉴욕을 중심으로 한 한인사회의 풀뿌리로비도 가열차게 전개됐다.
아베는 미 하원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 다니엘 이노우에 상원의원같은 일본계 거물정치인을 통해 강력한 차단막을 치면서 ‘양동 작전’을 펼쳤다. 일본이 위안부들을 강제 동원했다는 증거가 없다는 말을 공론화해 논란을 부추기다 고노 담화를 계승한다는 입장엔 변화가 없다는 식으로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는 전략이었다.
고노 담화는 1993년 8월 일본 정부 대변인격인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이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동원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사죄한 내용의 담화로 이후 일본의 총리들은 일관되게 고노 담화를 승계한다는 입장을 피력해 왔다.
뉴욕타임스는 당시 보도에서 “일본의 전쟁 매음굴을 둘러싼 외교적 격노가 사그라들지 않을 전망이다. 아베 총리는 14년간의 연구를 한 결과 일본군대가 여성들을 납치해 매춘부로 만들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는 토마스 쉬퍼 주일대사가 지난달 하원 청문회에서 이뤄진 피해여성 3명의 증언을 들어 일본군대가 2차대전기간중 여성들을 강제로 성노예(性奴隸)로 삼은 사실을 믿고 있다고 발언한 이후 나온 것”이라고 소개했다.
당시 쉬퍼 대사는 “피해 여성들을 협박해 몸을 팔도록 한 것은 일본 군대가 조직적인 강간을 한 것을 의미한다. 정말 끔찍한 일들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강제동원의 증거가 없다는 말로 아시아, 특히 가장 많은 피해자가 있는 한국이 분노로 들끓자 아베는 ‘93년 고노 담화의 입장을 견지하며 고통받은 여성을 동정에 연민의 감정을 갖고 있다’는 말을 되풀이하면서 진정시키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타임스는 “아베가 도쿄에서 4월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워싱턴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눈에 띄는 것은 쉬퍼 대사의 반응이다. 그는 아베의 고노담화 계승 입장을 환영하면서 “미국은 특정(위안부) 이슈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일본은 이같은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행동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베의 전략은 위안부들의 강제동원을 부정하다가 미국이 감내하기 힘든 수준이 될 때마다 ‘고노담화를 계승할 것’이라는 말로 비등점(沸騰點)을 떨어뜨리는 것이었다. 또한 마이크 혼다 의원의 발의로 시작된 위안부결의안이 더 많은 의원들의 지지를 받지 않도록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쉬퍼 대사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아베는 4월25일 워싱턴에 도착하자마자 의사당에 달려가 “미일 관계의 악화는 미국에게 결정적인 불이익이 될 것”이라며 결의안을 통과시키지 말 것을 주문하는 노골적인 연설을 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아베의 연설은 의원들의 반감을 초래했다. 석달뒤인 7월30일 하원에서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고 틀어진 미일관계에 따른 책임을 지고 아베는 총리직에서 내려오게 됐다.
재미언론인 문기성 씨는 “7년전 뉴욕타임스의 기사는 지금 나와도 하나도 이상할게 없을만큼 아베의 행보와 닮은꼴이다. 일본은 올 초 고노담화에 대한 검증 및 수정 입장을 밝혔다가 문제가 되자 역사인식에 관해선 역대 내각의 입장을 계승하겠다고 물타기를 했다. 또 지난 달 아베가 ‘고노담화 발표와 관련 검증 보고서를 내는 것은 우리의 책무’라고 딴소리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백악관과 국무부가 위안부 피해할머니들을 직접 면담한 것은 아베의 ‘오락가락 전략’에 대한 일종의 경고(警告)다. 아베가 스스로 덫에 빠질 수도 있겠지만 외교는 타이밍이다. 우리 정부의 전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obi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