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반, 유엔사무총장 관저에서 30분 면담도
뉴욕을 방문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김용 세계은행 총재와 맨해튼 관저에서 만찬회동(晩餐會動)을 해 눈길을 모으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22일 뉴욕 도착직후 맨해튼 서튼플레이스에 위치한 유엔 사무총장 관저에서 반기문 총장을 만났다. 유엔 총회 참석차 방문한만큼 주빈격인 사무총장부터 만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국내 정가에선 반총장이 차기 대선의 유력주자로 거론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시선이 집중됐다.
청와대에 따르면 박 대통령과 반 총장은 이날 오후 7시부터 30분간 면담을 통해 북핵 문제와 남북교류와 공동 번영을 위한 구상 등 한반도 문제와 국제사회 현안에 관한 얘기를 나누었다. 반 총장은 우리 정부가 유엔의 대북 지원사업인 모자보건사업 등을 지원한데 대해 사의를 표했고, 박 대통령도 “대북 인도적 지원을 계속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박 대통령이 취임이후 반 총장을 만난 건 이번이 네 번째지만 이날 회동은 여권 일부에서 반 총장을 차기 대권주자로 영입하려는 움직임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았다. 반 총장은 최근 국내 여론조사에서 17.4%로 1위에 오른 바 있다.
2위는 15.9%의 박원순 시장이었고 새정치연합 문재인 의원(13.5%)과 새누리 김무성 대표(13.1%)가 뒤를 이었다. 지난 대선에서도 대권주자 영입설이 돌았던 반 총장은 임기가 2016년에 끝나기 때문에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2017년 대선 출마가 유력한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만찬에 앞서 박 대통령과 반 총장이 세계은행 김용 총재와 잠시 환담을 나누는 장면도 시선을 끌었다. 뉴욕에서 세계 기구의 수장(首長)인 두명의 한국계 인사와 한국 대통령이 함께 하는 장면이 처음 연출됐기때문이다.
이상 photo by 유엔본부
반기문총장과 유순택 여사가 주최한 만찬은 박 대통령과 김용 총재, 윤병세 외교부장관, 오준 유엔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시종 화기애애한 분위기속에 진행됐다.
만찬행사가 열린 반 총장의 관저는 맨해튼 동쪽 이스트리버와 퀸즈보로 브리지가 한 눈에 보이는 아름다운 전망을 자랑하는 곳이다. 1921년 지어진 네오조지안 양식의 타운하우스로 건물 내부에 미니 엘리베이터가 있고 강변쪽으로 정원을 갖추고 있다. 본래 JP 모건의 딸인 앤 모건 소유였으나 1972년 유엔에 기증, 사무총장 관저로 활용됐다.
반 총장은 2006년 사무총장 당선직후 관저에 입주하지 못하고 한동안 호텔 생활을 해야 했다. 이 건물이 1950년 이후 제대로 된 보수공사를 한 적이 없어서 파이프가 새고 전기문제로 화재 위험이 우려됐기 때문이다.
반 총장의 전임 코피 아난 총장도 퇴임무렵 “관저를 시급히 보수공사를 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약 490만 달러의 예산을 들여 중앙냉난방과 시큐리티 시스템을 구축하고 주방, 욕실 등을 업그레이드했다.
뉴욕=노창현특파원
newsroh@gmail.com
<꼬리뉴스>
“미대인지뢰 한국서 계속 사용” 케리 국무장관
윤병세 외교장관이 23일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의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미국의 대인지뢰(對人地雷) 정책 등 한반도 안보와 동북아 정세, 주요 국제적 도전에 대한 대응방안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케리 장관은 “한국의 안보는 곧 미국의 안보”라면서, 이날 발표된 미국의 대인지뢰 사용 중단 정책이 한반도에는 적용되지 않을 것임을 재확인했다. 이날 회담은 미국측의 요청으로 열린 것으로 양국간 외교장관 회담은 올들어 네 번째이다.
케리 장관은 전날 단행된 미국의 시리아 공습 배경을 설명하면서, ISIL 위협 대응 관련 국제공조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모습이었다. 윤 장관은 ISIL의 반문명적 테러 행위를 비난하고, 미국의 시리아 공습이 ISIL의 행위를 억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윤병세 장관은 에볼라와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대한 미측 입장에 대해 한·미간 글로벌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우리의 지속적 기여의지를 밝히고, 25일 유엔 ‘에볼라 위기 관련 고위급 행사’ 참석 등 에볼라 확산 억제를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양국 장관은 북한의 최근 공세적 외교와 관련, 굳건한 한·미 동맹을 기초로 긴밀한 대북 공조를 강화해 나가는 한편, 역내 주요 정세 변화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