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대한민국만 호들갑인가?"
조계종 군종교구장 정우스님이 21일 뉴욕원각사에서 열린 특별 법회에서 메르스 사태에 따른 한국의 상황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정우스님은 "온 나라가 메르스 때문에 난리다. 다른 나라 아무 문제 없는데 왜 그렇게 우리만 호들갑인가. 메르스사태 놓고 우리나라 정부와 언론의 대처방식을 보면 아주 속이 터진다"고 말을 꺼냈다.
정우스님은 "메르스, 메르스 하는데 똑같은 얘기에 말장난이 심하다. 왜 그렇게 난리라도 난양 하는가. 메르스는 낙타감기바이러스다. 사스는 돼지감기바이러스, 400년전 유럽의 인구 6천만명 이상을 죽게한 흑사병 페스트는 쥐바이러스 때문이다. 손 잘 씻고 위생(衞生)만 청결히 하면 메르스 걱정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는 5천명, 자살자는 하루 평균 40명이다. 지금 메르스 사망자가 25명인데 대부분은 원래 지병을 앓고 있었다. 왜 불에 기름을 끼얹는지 모르겠다. '낙타 조심하세요' 그러더라. 대한민국에 야생 낙타 없다. 동물원에나 가야하는데 낙타 조심하라구?"하며 보건복지부가 메르스 예방법으로 낙타 조심 경고문을 올린 사실을 지적했다.
정우스님은 지난 3월 군종교구장 자격으로 레바논 동명부대를 방문, 장병들을 격려했을 때 일화를 소개했다. 당시 방문에서 대법원장을 맡고 있는 이슬람지도자와 대화하는데 일행 중 누한 사람이 "레바논은 중동에선 보기드물게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데 어쩌다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니 참 안타깝다"고 위로한 것이다.
그러자 이슬람 지도자는 빙그레 웃으며 "남북이 분단된채 핵폭탄을 이고 있는 처지의 당신들이 더 딱한 것 같다"고 대꾸했다. 정우스님은 "한마디로 '우리 걱정하지말고 너희들이나 잘해'라고 하는데 섬찟하도록 공감이 가는 말이었다"고 전했다.
정우스님은 "부처님께서 7만종류의 생명체계가 우리 몸을 의탁해서 살고 있다는 말씀을 하셨다. 이후 한 스님이 입적했는데도 다비(화장)를 하지 않는다는 소식을 듣고 부처님이 찾아가니 '부처님께서 7만 생명체가 살아있다 하셔서 다비를 할 수 없었다'고 하자 '숨을 거두는 동시에 한꺼번에 소멸된다'고 어리석음을 깨우쳐 주셨다"며 메르스사태 소동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와 함께 "가슴으로 살면 아무일도 없을텐데 생각에 젖어 있다가 자유로움을 잃고 있다"는 달라이 라마의 법어를 소개하며 표피적 현상에 좌우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뉴욕=민지영기자 newsroh@gmail.com

<꼬리뉴스>
뉴욕원각사 1천만불 대작불사…9월 대웅전 상량식
미주한국 불교 최대인 1천만달러 대작불사가 진행되는 원각사에서는 9월 하순을 목표로 역사적인 전통 한국식 대웅전의 상량식(上樑式)을 예정하고 있다.
그동안 회주로서 물심양면으로 후원해온 정우 큰스님은 대작불사를 위해 애쓰고 있는 불자들과 이광복 도편수(都邊首)를 비롯, 한국 최고의 장인 5명이 진행중인 대들보 등 치목작업을 둘러보고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우스님은 "뉴욕원각사의 대작불사는 한국에서도 종정스님을 비롯한 많은 분들로부터 칭찬이 쏟아지고 있다. 지금 여러분이 보고 있는 대들보는 수령이 1천년도 넘은 나무다. 정말 엄청난 불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우스님은 "다음주안에 한국서 작업한 서까래와 포, 상방, 중방, 하방, 문틀 등이 16대 컨테이너가 뉴욕항에 도착하고 대웅전 초석과 주춧돌 18개도 곧 선적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불사란 부처님 일을 이르는데 부처님 일은 바로 중생을 위하는 일이다. 부처님은 중생을 위하는 일외에는 하지 않으셨다. 그런 불사를 우리가 하는 것이며 누군가 짊어져야 할 등짐을 함께 하고자하는 마음으로 극복하자"고 덧붙였다.
정우스님은 "이렇게 성스러운 곳에서 대작불사를 한다는 것을 우리는 기뻐해야 하며 원하는 바에 대한 확신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신념으로 이 불사가 꼭 성공해야 한다"며 마음을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