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를 흔히 외교관의 꽃이라고 부른다. 대사를 임명할 때는 고유한 임무뿐 아니라 상대국에 대한 예우(禮遇)도 함축하고 있다. 주일 미국 대사 자리는 영국, 프랑스와 더불어 선망의 대상으로 꼽힌다. 1906년부터 주일 미대사를 지낸 사람은 모두 29명(현 캐롤라인 케네디 대사 포함)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수퍼스타로 채워지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16년 동안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마이크 맨스필드를 비롯해 월터 먼데일 부통령, 톰 폴리 하원의장, 공화당 상원 원내총무를 지낸 하워드 베이커 등 기라성(綺羅星) 같은 거물 정치인들이 주일대사를 거쳐 갔다.
반면, 주한 미대사 자리는 중간급 이하로 분류된다. 캄보디아와 동급이다. 그렇다 보니 국무부 과장급 정도의 무명씨가 임명된다.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주한 대사에 23명이 이름을 올렸지만 이웃나라 일본과는 달리 스타급 명사가 눈에 띄지 않는 이유다. 미국이 평상시 세계 최고의 동맹국이라고 치켜세우는 한국에 경량급 인사를 대사로 보내는 것은 몹시 자존심 상하는 일이다. 이제 한국도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의 위상에 걸맞는 중량감 있는 인물을 대사로 맞아야 한다. 마크 리퍼트 대사가 피습을 당하고 나서야 그가 주한 미대사임을 인지(認知)한 사람이 비단 나뿐만은 아닐 터이다.
사람이 처신을 가볍게 하면 상대방으로부터 내심 업신여김을 당하게 마련이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같은 맥락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중동 순방을 마치고 서울공항에 내리자마자 곧바로 리퍼트 대사의 병실을 찿은 것은, 아무리 한미동맹 관계가 중요하다고 해도 그렇지 시기와 형식면에서 매우 부적절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박 대통령이 중동 순방 중에 이미 리퍼트 대사와 전화로 위안과 유감의 뜻을 표했고, 이완구 총리 등이 정부를 대표해 문병을 다녀온 터에 구태여 박 대통령이 다음 날 퇴원하는 리퍼트 대사의 병실까지 찿은 것은 일국의 국가원수로서 스스로 국격(國格)을 심대하게 훼손(毁損)한 지극히 사려 깊지 못한 행위로 힐난받아 마땅할 것이다.
대통령의 수준이 곧 그 나라 국민의 수준이라고 했다. 아니나 다를까. 리퍼트 대사 피습 사건이 있은 직후 한국민이 보인 비이성적인 행태를 생각하면 부끄러움에 얼굴이 화끈거린다. 대사의 쾌유를 기원한다며 한복을 입은 여성들이 엎드려 큰절을 하고 부채춤을 추는가 하면, 박 대통령의 제부인 신동욱은 “지켜드리지 못해 죄송하다”며 대사와 가족 그리고 미국 정부와 미국민에게 용서를 구하는 ‘석고대죄 단식’을 벌였다.
신동욱은 지난해 9월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46일간 목숨을 건 단식농성을 한 ‘유민 아빠’ 김영오씨를 조롱할 의도로 ‘인간이 물과 소금만 먹고 어느 정도까지 버틸 수 있는지 알아보겠다’며 ‘실험단식’을 했던 사람이다. 세월호 참사로 304명이나 되는 자국민이 희생됐을 때 한마디 애도는커녕 피눈물을 흘리며 단식농성 중인 유족들 앞에서 폭식투쟁이니 실험단식이니 하며 자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하찮게 여기면서 그들의 죽음을 욕보인 자들이, 다행히 부상 정도로 끝난 미국 대사의 안전을 지켜드리지 못해 죄송하다며 성조기를 들고 난리를 치다니 이 무슨 해괴한 짓거리란 말인가. 신동욱이 석고대죄해야 할 곳은 리퍼트 대사가 입원 중인 병원 앞이 아니라 세월호 희생자들의 영정과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곳이다 .
성조기가 물결치는 가운데 수천 명의 보수단체 회원들이 인천 자유공원 맥아더 장군 동상 앞에 운집해 장군을 한국전에 참전시켜 자유민주주의를 수호케 한 트루먼 미 대통령의 동상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광복절 행사장 등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성조기를 미친듯이 흔들어 대는 한국민의 모습을 보면 단순히 살아가기 위해 친미를 하는 게 아니라 코카콜라 문화에 중독이 된 나머지 뼛속까지 사대주의에 젖어 미국을 맹종(盲從)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리퍼트 대사 피습 사건은 그같은 한국민의 눈물겹도록 유별난 미국에 대한 애정을 다시금 극명하게 드러내는 계기가 됐다. 하여 이참에 아예 미국 정부를 상대로 한국을 미국의 51번째 주(State)로 편입시키거나 아니면 괌이나 푸에르토리코처럼 자치령(Commonwealth)으로 받아들여 달라고 청원하는 대규모 범국민운동을 벌일 것을 한국민, 특히 미국이라면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로 사족을 못 쓰는 재향군인회와 전국어버이연합 같은 친일 종미 수구 꼴통 단체들에게 제안하고 싶다.
아일랜드 국민은 17세기 중엽에 시작된 영국의 식민통치를 20세기에 벗어났으면서도 민족의 정체성을 고스란히 간직했고, 유대인들은 2천 년을 나라 없이 떠돌면서도 독립에의 꿈을 버리지 않았다. 그런데 우리 민족은 불과 36년의 짧은 일제강점기간에 오욕(汚辱)으로 점철(點綴)된 숱한 친일 반역의 기록을 남기면서 민족혼을 상실했다. 민족혼이 없는, ‘들쥐’ 근성을 가진 국민에게 까짓 국호 따위가 무슨 대수겠는가. 주나 자치령이 되면 무엇보다 주한 미군 철수 걱정 안 해 좋고, 기를 쓰고 원정출산 안 해도 되고 생활고로 자살하는 일도 없을 테니 얼마나 좋을까나. 바야흐로 신천지가 도래할 것이니 들쥐들은 다카키 마사오란 이름의 영악한 조선 청년이 황국신민이 되어 일제에 충성을 바친 것과 똑같은 방법으로 견마지로(犬馬之勞)를 다해 미국을 섬기기만 하면 만사형통(萬事亨通) 할 것이다.
피습을 당한 리퍼트 대사가 “비온 뒤에 땅이 굳어집니다. 같이 갑시다”라고 말한 데 대해 박 대통령이 “영원히 같이 갑시다”라고 화답했다고 한다. 미국의 주나 자치령이 되는 것이야말로 양국 국민이 리퍼트 대사가 흘린 고귀한 피로 한층 더 굳어진 대지를 딛고, 거침없이 나부끼는 성조기 아래 하나가 되어 영원무궁토록 함께 갈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아니겠는가. The Stars & Stripes Forever (성조기여 영원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