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11일, PM 07:51:21 파리 : 5월12일, AM 02:51:21 서울 : 5월12일, AM 09:51:21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한국필진
·강명구의 마라톤문학 (352)
·국인남의 불편한 진실 (11)
·김영기의 민족생명체 (18)
·김정권(Quentin Kim)의 음악 (6)
·김지영의 Time Surfing (25)
·김해성목사의 지구촌 사랑나누기 (62)
·노이경의 사람과 사람사이 (2)
·박기태의 세계로가는 반크 (114)
·박상건의 삶과 미디어 읽기 (5)
·서경덕의 글로벌코리아 (5)
·소곤이의 세상뒷담화 (166)
·유현희의 지구사랑이야기 (12)
·이래경의 격동세계 (146)
·이재봉의 평화세상 (113)
·이춘호의 이야기가 있는 풍경 (5)
·정진숙의 서울 to 뉴욕 (22)
·최보나의 세상속으로 (7)
·켄의 글쟁이가 키우는 물고기 (6)
·한종인의 자연 메詩지 (166)
·혜문스님의 제자리찾기 (28)
·황룡의 횡설수설 (150)
·흰머리소년의 섞어찌게 세상 (10)
황룡의 횡설수설
분단 된 조국, 한반도의 남쪽에 사는 일은 고립된 섬과 같은 무의식으로 늘 외로움의 관성이 있습니다. 평화로 하나 된 한반도를 꿈꾸고, 그 실현을 위한 움직임으로 대륙을 지향하며 세계와 소통하는 일은 의미가 크다고 믿습니다. 풀 한 포기와 나무 한 그루의 흔들림에도 한반도 평화의 의미를 담고 싶습니다.

총 게시물 150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장수말벌에 쏘이다

글쓴이 : 황룡 날짜 : 2023-09-04 (월) 17:10:15


 

벌에 쏘였다. 늘 가는 금병산(金屛山)에 후배랑 갔다. 계곡길로 오르다 중턱 갈림길 옆에 큰 벌들이 있었다. 위압적인 큰 벌들에게 쏘이면 큰 일 날 것 같았다. 급하게 피해가려던 순간 왼쪽 종아리가 따끔했다. 쏘인 것이다. 혈관을 쏜 것인지 그 자리에서 피가 조금 나기도 했다.

 

하산하는 동안 내내 통증이 있었다. 후배도 역시 아킬레스 건 부근을 쏘였는데 반응 정도는 나 보다 약해 보였다. 집에 와서 씻고 약도 바르고 얼음 찜질을 했다. 찜질 중엔 통증이 없다가 얼음을 떼면 통증이 여전했다.

 

생각해보니 벌을 크게 타는 사람은 머리 부근에라도 쏘이면 쇼크사 할 수 있다는 얘기가 떠올랐다. 시청에 전화를 걸었다. 등산로 관할 부서가 산림과라 했고 직원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하고 정확한 벌집의 위치 약도(略圖)를 사진으로 보내줬다. 두 시간 쯤 지나 산림과에서 관할 소방서 대원들과 장비를 챙겨 벌집 제거하러 가는 중이라고 연락이 왔다.



 


밤새 종아리가 가려워 여러 번 자다깨다 했다. 아침에 보니 좀 더 부어 있었고 여느 날 처럼 후배랑 산에 갔다. 어제 벌집이 있었던 자리는 초토화 되었고 죽은 벌들이 있었다. 주변엔 일 나갔다 돌아 온 벌인지 한 마리가 황당한 듯 배회(徘徊)하고 있었다. 생애 최고 큰 벌들이었다.

 

일선 공무원들은 본연의 역할에 충실히 임하고 있다. 그나마 나라가 굴러가는 이유일 것이다. 지금 권력을 손에 쥔 어공들이 나라를 시궁창 수렁으로 몰아가고 있다. 큰 일이다. 권력을 하루빨리 회수해야 한다.

 

 

************************************

 

배롱나무, 목백일홍, 간지럼나무

 


 

이 즈음 남도의 목백일홍 길가에, 사찰에, 고즈넉한 정자 앞 뜰에 짙푸름에 반해 붉게 조화로운 모습이 선합니다.

 

삶은 방랑(放浪) 총량의 법칙이 엄격히 적용되는지라 언젠가 그랬던 추억만 소환하며 지금 처지를 달래 봅니다.

 

명옥헌 연못에 불 타는 꽃그림자 아련하고, 정자 마루에 누워 꽃향기에 취하던 그 여름이 사뭇 그립습니다.

 



금산사 미륵전 앞 불심 깊은 배롱나무 세속을 품고 앉아 미륵을 기다리는 모습도 그냥 그리워만 할 뿐입니다.

 

빨갛도록 웃다가 지는 간지럼나무 꽃 다 지기 전에 만대루 앞 강 산 그늘에 가득한 꽃과 함께 깔깔거리고 싶습니다.

 

속절없는 삶이 여름처럼 후달리다 지치면

배롱나무 가까운 그늘에 앉아 실없는 웃음 웃고 가벼워지길 빕니다.



 


세월은 내 뜻과 상관없이 가고 오는 것, 사소한 아쉬움에 붙잡는다고 머물지 않고 징하니 얼른 가란다고 가지도 않더이다.

 

나무처럼 간지럼 타고 꽃처럼 붉은 웃음 한바탕 웃다가 이제 곧 다가올 가을을 담담하게 맞아야 하는 시간입니다.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황룡의 횡설수설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hwanglong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