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4월05일, AM 02:47:23 파리 : 4월05일, AM 09:47:23 서울 : 4월05일, PM 04:47:23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뉴욕필진
·Obi Lee's NYHOTPOINT (103)
·강우성의 오!필승코리아 (40)
·김경락의 한반도중립화 (14)
·김기화의 Shall we dance (16)
·김성아의 NY 다이어리 (16)
·김은주의 마음의 편지 (45)
·김치김의 그림이 있는 풍경 (107)
·등촌의 사랑방이야기 (173)
·로창현의 뉴욕 편지 (497)
·마라토너 에반엄마 (5)
·백영현의 아리랑별곡 (26)
·부산갈매기 뉴욕을 날다 (9)
·서영민의 재미있는인류학 (42)
·신기장의 세상사는 이야기 (17)
·신재영의 쓴소리 단소리 (13)
·안치용의 시크릿오브코리아 (38)
·앤드류 임의 뒷골목 뉴욕 (37)
·제이V.배의 코리안데이 (22)
·조성모의 Along the Road (50)
·차주범의 ‘We are America (36)
·최윤희의 미국속의 한국인 (15)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 (406)
·한동신의 사람이 있었네 (37)
·황길재의 길에서 본 세상 (244)
·훈이네의 미국살이 (115)
·韓泰格의 架橋세상 (96)
황길재의 길에서 본 세상
정신세계수행자, IT전문가, 영화감독, 연극배우, 라디오방송기자 등 다양한 인생 여정을 거쳐 현재 뉴욕에서 옐로캡을 운전하고 있다. 뉴욕시내 곳곳을 누비며 뉴요커들의 삶을 지척에서 바라본다.

총 게시물 244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벙어리 지게차기사

폭풍우 뚫고 매사추세츠로
글쓴이 : 황길재 날짜 : 2018-08-19 (일) 22:43:44


0812 갑자기 매사추세츠1.jpg

 

 

언젠가 이런 일이 있을 것이라 예상은 했다. 사실 그 동안 운이 좋았다. 폭풍우 속의 작업.

 

어제 일기를 쓴 직후 전화가 왔다. 야간 디스패처다. 그 전에 메시지가 왔으나 일기 쓰느라 못 봤다. 리파워를 하겠냐고 묻는다. 내일 아침 7시 배달갈 위치에서 6마일 떨어진 지점에 있는 TA 트럭스탑이다. 거기서 트레일러를 교환해 매사추세츠 보스턴 인근 린(Lynn)에 아침 7시까지 가는 일정이다. 330마일 정도 된다. 마다할 이유가 없다.

 

급히 트레일러를 연결해 출발했다. 약속 장소까지는 50분 정도 걸린다. 야드를 나와서 우회전했다. 퀄컴과 가민 모두 좌회전을 표시했고 구글만 우회전을 택했다. 가민의 코스는 유턴을 해야하고 (트랙터 트레일러 트럭에게 유턴은 쉬운 운행이 아니다.) 구글의 코스는 간단해 보였다. 그러나 역시 이유가 있었다. 가다보니 30톤 이상 트럭 진입 금지다. 가민은 아까부터 자꾸 유턴하라고 난리다. 퀄컴으로 코스를 재설정하니 우회 경로를 알려준다. 다행이다. 공연히 구글맵 따르다가 시간만 낭비했다.

 

TA에 도착해 트레일러 맞교환할 운전자를 만났다. 서류부터 주고 받았다. 트레일러 연결하고 서류 작업한 다음 주유를 했다. 이 트럭스탑은 이상했다. 모든 것이 반대다. 보통은 왼쪽에 메인 펌프가 있고 오른쪽에 보조 펌프가 있다. 펌프 번호도 찾을 수 없었다. 결제도 펌프가 아니라 사무실에서 했다. 펌프 번호를 묻길래 모르겠다했더니 직원은 창밖을 슬쩍 보더니 11번일 것이라 했다. TA도 가끔 이용하는데 포인트 적립카드가 없다. 즉석에서 발급해주는 다른 곳과 달리 키오스크 단말기에서 별도로 신청을 해야 한다. 그러면 나중에 집으로 배달온다. 귀찮아서 그동안 안 했다. 오늘은 등록을 했다. 영수증 종이에 바코드가 인쇄된 임시 카드를 받았다. 트럭에 돌아와서야 내가 거꾸로 들어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주유 중인 트럭이 없어 몰랐다.

 

갈 시간이 바쁘지만 15분 더 쉬기로 했다. 처음 8시간 업무 시간 중 5시간 30분 가량 남았는데 가야 할 거리는 7시간 가량 된다. 중간에 30분 휴식을 해야 한다. 이미 15분 쉬었으니 지금 15분 쉬는 게 더 시간절약이다. 트레일러 연결 하느라 걸린 시간을 주유시간으로 기록했으면 시간을 더 절약할 수 있었는데 이 생각은 출발하고나서야 들었다. 요령 부족이다.


DSC_0018.jpg

 

새벽 3시경 조다리(조지워싱턴 브릿지)를 트럭으로 건널 줄이야. 조다리를 건너 95번 하이웨이로 브롱스를 지났다. 여기서 퀸즈로 연결되는 다리를 건너면 집이다. 집을 지척(咫尺)에 두고도 지나치다니. 승용차로 다닐 때는 몰랐는데 이 길이 이토록 험하고 오르막 내리막도 심했구나. 제한속도도 50마일이라 빨리 달릴 수도 없었다. 나를 추월해 가는 승용차가 두 대 있는데 그 중 한대는 경찰차였다. 앞차는 뒤에 경찰차가 따라 오는 줄 모르는 모양이다. 아니나다를까 곧 경찰차가 경광등을 켜더니 앞서가던 차를 세웠다.

 

코네티컷 들어와서 졸리기 시작했다. 예정에 없던 밤샘 운전이다. 미친 사람처럼 혼자 중얼거리기 시작했다. 논스톱으로 가도 시간 맞추기 어렵지만 쉬어야 한다. 휴게소에 들러 커피 한 잔을 타 마셨다. 다시 출발했다. 8시쯤 도착할 것 같다고 디스패처에게 메시지를 보냈다. 답은 없었다. 자기 알 바 아니겠지. 매사추세츠에 들어서자 더 심하게 졸렸다. 아무 시설이 없는 트럭 휴게소에 멈췄다. 10분 알람을 맞추고 잤다. 방전된 배터리를 잠깐 충전하는 식이다. 8분 지나 저절로 깼다. 그 정도 잠으로도 한결 정신이 맑았다.

 

예상보다는 빠른 730분 경에 도착했다. 배달지는 주택가 인근에 있었다. 동네 길을 이런 트럭으로 다녀도 되나 싶을 정도다. 건너편 주차장에서 도로를 가로 질러 후진해 닥에 대야 한다. 다른 프라임 트럭이 길을 막고 짐을 내리고 있었다. 주차장에 세우고 사무실로 갔다. 서류 작업을 하고 닥이 나기를 기다리라 했다. 닥킹하고 나서는 트랙터를 분리하라고 했다. 길을 막지 않기 위해서다. 지금 내리는 트럭은 팰릿이 5개 밖에 되지 않지만 나는 20개라서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설명이다. 트럭에서 자고 있자니 누가 문을 두드렸다. 비가 억수로 쏟아졌다. 나가보니 비옷을 입은 직원이 닥킹을 하라고 했다. 그는 이미 트레일러에서 씰을 제거했다. 나도 자물쇠를 제거했다. 나는 판초 우의를 걸쳤지만 신발과 바지는 금새 비에 젖었다. 트럭에 타고 후진하는 동안 그 직원은 도로의 차들을 통제했다. 한치도 안 보이는 폭우 속에서 어떻게 거울을 보며 후진했는지 모르겠다. 잘 안 보여 몇 번 앞뒤로 왔다갔다 하는 동안 간간히 차들을 통과시켰다. 거의 안 보이는 상태에서 닥에 트레일러를 댔다. 내가 하고서도 신기했다. 트랙터를 떼서 다시 주차장으로 건너가 잠을 청했다.

 

얼마 후 누가 문을 두드렸다. 이번에는 다른 직원이었다. 그는 서류를 내게 건네며 작업이 끝났다고 했다. 비는 아직도 내리고 있었다. 이번에는 뒤를 봐주는 사람 없이 후진했다. 밥테일 트럭 후진이야 아무 일도 아니다. 트레일러를 연결해 다시 주차장으로 이동했다. 남은 시간이 별로 없어 오늘 더 이상 일은 못 한다. 어딘가에서 쉬어야 했다. 트럭커패쓰 앱으로 트럭스탑을 검색하니 인근에 하나 있는데 좁은데다 주차비로 20달러를 받는다 했다. 됐고. 고속도로 휴게소를 검색했다. 이곳도 몇 대 공간은 없지만 항상 한 자리는 있다는 리뷰가 있었다. 일단 거기로 가보자. 출발 후 얼마 안 가 생각나 오프 듀티 드라이브로 설정했다. 시간은 금이다.

 

비가 곧 멈출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계속 내렸다. 이 정도로 계속 내리면 홍수가 날텐데. 아니나다를까 홍수가 났다. 앞의 차들이 유턴을 했다. 삼 분의 일 쯤 잠긴 잠긴 차량이 물 속에 서 있었다. 트럭이야 이 정도는 지날 수 있다. 나는 계속 진행했다. 더 가니 아예 소방차로 길을 막았다. 건너편에는 반 이상 잠긴 차량들이 있었다. 큰일 났다. 좁은 동네길이라 유턴할 수도 없다. 다행히 왼쪽으로 우회로(迂廻路)가 있었다. 폭우로 길이 막혀 차량 진행 속도가 느렸다. 휴게소는 25마일 거리인데 이러다 시간을 다 써버릴 것 같았다. 오프듀티 드라이브는 1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드라이브로 바뀐다. DOT 시간도 줄어드는데 자칫하면 시간 위반에 걸릴 수 있다. 다행히 시간 내에 도착했다.

 

휴게소는 거의 자리가 없었다. 이거 곤란하다. 다른 곳으로 갈 시간도 없다. 휴게소를 거의 나갈 즈음에 자리 한 곳이 눈에 띄었다. 간신히 비집고 들어갔다. 내려서 살펴보니 트럭에 약간의 파손이 있었다. 우측 에어스커트 하단이 찢겨 덜렁거렸고 우측 드라이브 타이어 커버가 휘어졌다. 언제 그랬는지 모르겠다. 아까 후진하다 그랬는지, 홍수로 잠긴 길을 뚫고 올 때 그랬는지. 에어스커트는 덕 테이프로 붙였다. 드라이브 타이어 커버는 떼서 휘어진 부분을 펴야 하는데 연장이 없다. 나중에 터미널에 가면 트랙터샵에서 수리해야겠다. 컵라면을 끓여서 어제 남은 밥을 말아 먹었다.

 

다음 화물이 들어왔다. 내일 아침과 오후에 각각 픽업을 해서 글피 아침까지 미시건 주에 배달하는 일정이다. 일단 피곤하니 자자. 저녁 무렵에 일어나 책을 읽었다. 내일 새벽 4시로 알람을 맞췄다. 오늘 트레일러 세척을 못 했다. 새벽에 문을 여는 곳은 없을 것이다. 트레일러가 그리 더럽지는 않다. 내일 새벽에 전화해보고 세착장이 문을 안 열었으면 손으로 대충 치우고 픽업 가야겠다.

 

 

 

0812 갑자기 매사추세츠2.jpg



벙어리 지게차 기사의 미소

      

 

오늘도 빡센 하루였다. 새벽 4시에 일어나 출발 준비를 했다. 트레일러를 살펴보니 어제 못 봤던 핏물이 흥건했다. 트레일러 바닥의 통로 몇 줄을 따라 핏물이 고였다. 어제는 폭우에 정신이 없어 나무 조각만 신경쓰고 바닥까지 자세히는 못 봤다. 트럭세차장에 전화를 걸어보니 자동응답기가 받는다. 평일 몇시부터 몇시까지 문 연다고. 트럭 전문세차장이 아니면 대게 주말에도 문을 닫는다.이런 곳은 다른 트럭 관련 사업을 하며 부수적으로 트럭 세차도 하는 것이다. 그러니 비가 안 왔어도 어제 트레일러 세척은 할 수 없었다. 키친 타올을 들고 트레일러에 올랐다. 종이를 다 쓰며 최대한 닦았지만 역부족이다. 에라 모르겠다. 냄새는 안 나니 괜찮겠지.

 

5시에 휴게소를 출발했다. 540분에 발송처에 도착했다. 트럭을 앞마당에 세우니 여자 야드자키가 뒷쪽에 세우라 했다. 사무실은 6시 돼야 문을 연다고 했다. 그녀는 혼자서 부지런히 트레일러를 이리저리 옮겼다. 6시가 넘어 사무실로 갔다. 이곳의 규칙은 짐을 실을 때 트럭 운전사가 닥 내부에서 지켜봐야 했다. 이런 경우는 SLDC 어카운트라고 한다. Shipper Load Driver Count의 약자다. 보통은 SLC. 닥 배정되면 전화 주겠다기에 트럭에 와서 기다렸다. 기다리며 읽던 책을 마저 끝냈다. 9시가 넘어도 연락은 없다. 운동도 할 겸 팟캐스트를 들으며 회사 마당과 주차장을 걸어다녔다.

 

10시 넘어서 연락이 왔다. 24번 닥에 대라고 했다. 내 앞에 서 있던 트럭은 25번 닥에서 짐을 다 싣고 나갈 채비를 했다. 끝났으면 빨랑 나갈 일이지 서류작업 하는지 꾸물거렸다. 할 수 없다. 그 트럭을 옆에 둔 채 후진을 했다. 다 대려고 하니 그제서야 나갔다. 트럭이 멈추는 느낌이 들어 브레이크를 걸고 엔진을 끈채 뒤로 가봤더니 한 뼘 정도 닥과 떨어져 있다. 이상하다? 다시 운전석에 앉아 타이어가 헛 돌 정도로 뒤로 붙인 다음 가봐도 여전히 떨어져 있다. 이게 무슨 곡절인가 싶어 봤더니 닥 외부에서 트럭을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에 트레일러 범퍼가 걸려 있다. 원래는 이 장치가 트레일러가 밀면 밑으로 내려가야 한다. 그런데 중간에 내려가다 말고 멈췄다. 닥 안으로 들어가 보니 문이 열리지 않았다. 트레일러가 닥에 밀착해야 문이 위로 열린다. 책임자로 보이는 사람에게 상황을 설명하니 야드자키가 봐줄 것이라 했다. 야드 자키가 오더니 트럭을 앞으로 약간만 움직이라고 한 뒤 작은 나무 조각 하나를 들고 그 틈으로 들어갔다. 잠시 후 그녀가 나와서 후진해보라고 했다. 그제서야 닥에 밀착이 됐다. 이래저래 늦어졌다. 2차 발송지 약속은 오후 2시라 10시에는 출발해야 하는데 이미 늦었다.




0813 벙어리지게차기사1.jpg


 

닥 안으로 들어가니 이웃집 아저씨 같은 인상 좋은 지게차 기사가 내 담당이었다. 그는 아까부터 말을 한 마디도 안 했다. 지금도 짐을 실을 수 없는 이유를 몸짓으로 설명했다. 내가 가진 안내문을 달라고 하더니 온도 규정을 가리켰다. 35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온도가 너무 높다는 것이다. 닥에 밀착이 안 된 상태로 한참을 있었으니 당연하다. 그가 들고 다니는 단말기에 온도계 기능도 있는 모양이다. 온도가 내려갈 때까지 잠시 기다리라는 시늉을 했다. 내가 하는 말을 알아는 듣나? 소리는 듣는 것인지, 입모양을 보고 읽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그는 다른 직원과도 손짓으로 대화했다. 별로 소통에 불편함이 없어 보였다. 그는 핏물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나중에 체크리스트를 보니 냄새와 파편이 중요했다. 핏물만 빼면 내 트레일러는 옆에서 싣고 있는 다른 트레일러보다 깨끗했다. 드디어 짐을 실을 시간이 됐다. 벙어리 지게차 기사는 팰릿을 하나 하나 트레일러에 순서대로 쌓아 나갔다. 나는 부지런히 팰릿 수를 셌다. 중간에 나더러 로드락을 설치하라고 했다. 손짓으로 설치할 방향과 위치를 지시했다. 약간 불안하게 쌓인 부분이었다. 짐을 다 싣고 나서 서류를 보고 깜짝 놀랐다. 내가 센 팰릿은 19개 정도인데 31개로 기록돼 있다. 중간에 2층으로 쌓은 팰릿이 많았던 모양이다. 이래서야 트럭 기사가 숫자를 세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내 앞에 실었던 트럭들은 기사가 트럭에 앉아 기다렸다. 발송서류를 프린트해서 받고 지게차 기사와 손짓으로 작별인사를 했다. 그는 사람 좋게 미소지었다. 말을 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고 일하는데 지장이 없구나.

 

늦었으니 서둘러 가야했다. 서류 작업 마치고 출발 전화를 했다. 타이어 게이지 수치를 묻는다. 게이지를 재지 않았다. 닥에서 트레일러를 떼지도 않은 상태였다. 아차 싶어 다시 전화하겠다 했다. 닥에서 출발해 마당에 트럭을 세웠다. 트레일러 문을 닫으려는데 안 닫긴다. 마당이 기울어져 트레일러 몸체가 뒤틀린 탓이다. 예전에 네이슨과 다닐 때도 같은 문제로 고생한 적이 있다. 그 곳이 울퉁불퉁한 맨 땅이라 평평한 곳이 없었다. 진입로에 트럭을 대고서야 겨우 문을 닫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래치가 안 잠긴다. 내 온 체중을 실어도 꼼짝 않는다. 내 뒤에 탱커가 섰다. 영감님 기사였다. 혹시 해머 같은 것 있냐고 물으니 있다며 엄청나게 큰 랜치를 꺼냈다. 만화에서나 볼 듯한 크기의 랜치다. 그걸로 내려치니 래치가 잠겼다. 텐덤 타이어를 7번 홀에 맞추니 무게 균형이 비슷하게 맞았다. 약간 아래로 경사로라 정확한지는 모르겠다.

 

고속도로를 달리는데 자꾸 문자가 들어왔다. 리퍼에서 경고 코드가 떴단다. 설정 온도를 벗어났다는 내용이다. 트럭을 도로켠 비상 주차구역에 세웠다. 내려서 온도를 확인하니 35도로 유지해야 하는데 45도였다. 회사 지원팀에 메시지를 보냈다. 온도가 내려가고 있으니 지켜보라는 답이 왔다. 다시 달렸다.

 

업스테이트 뉴욕에 들어섰다. 허드슨 강을 건넜다. 뉴욕, 나의 홈스테이트.


DSC_0022.jpg

 

오후 440분에 두 번째 발송처에 도착했다. 이곳은 상시로 발송하는 곳이 아닌 모양이다. 회사 규모도 그렇고 분위기도 달랐다. 일반 회사 직원이 예외적인 일을 하는 듯했다. 복장이나 태도, 말투가 그랬다. 아무튼 닥을 갖추고는 있었다. 2번 닥에 대라고 해서 가보니 중형 박스트럭이 있었다. 직원이 트럭을 뺐다. 지금까지 솔로 시작하고 가장 어려운 환경이었다. 도와줄 사람도 없고, 공간은 좁은데 자칫하면 앞쪽에 도랑으로 빠질 수도 있었다. 옆의 트럭도 좀 치워주지. 이 놈은 어디갔어? 각이 안 나오는 상황에서 조금씩 오가며 각도를 맞췄다. 트레일러의 제친 문짝이 트럭에 살짝 흠집을 내고 사이드 미러를 접었다. 이 정도는 양반이다. 남자 직원은 지게차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발송품은 치즈 10상자였다. 팰릿 하나다. 총 중량도 내 몸무게 보다 가벼웠다. 그 정도 분량이었으면 둘이서 같이 들어 날랐어도 됐다. 나를 그 고생을 시켜야했냐? 나는 이제 어지간한 후진은 다 할 수 있을 것 같다.

 

1시간 30분 남았다. 오늘 쉴 곳을 찾아야 했다. 마음이 급해 서둘러 좌회전하다 교차로에서 시동을 꺼트렸다. 하이기어를 로우기어로 바꾸지 않았다. 이러지 않아도 되는데. 아까도 오면서 차선 바꾸다 옆에 붙은 승용차를 못 보고 부딪힐 뻔했다. 침착하자. 고속도로에 들어서 얼마 안 가 인포메이션 센터가 나왔다. 들어와보니 트럭 주차장은 텅 비었다. 왜 그런가 보니 앞에 디젤 엔진 공회전하면 티켓 준다는 안내판이 서있다. 리퍼와 APU도 디젤 엔진인데 그건 괜찮나? 다른 트럭은 잠시 섰다가 모두 금방 떠나버렸다. 넓은 주차장에 나 혼자 있기는 처음이다. 혹시나해서 회사 페북 그룹에 질문을 올렸더니 대체로 괜찮다는 의견이다. 리퍼와 APU는 공회전(Idling)이 아니라 원래 목적대로 가동(Run)이기 때문이란다. 트레일러 타이어 하나가 바람이 빠져 보였다. RA에 메시지를 보냈더니 TA에 가서 체크하란다. 시간도 없고 귀찮다. 내일 하겠다 했다. 아침에 상태봐서 결정해야지. 11시간 거리 남았다. 내일 쉴 틈 없이 종일 달려야 모레 아침에 시간 맞춰 배달한다.

 

 

 

0813 벙어리지게차기사2.jpg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황길재의 길에서 본 세상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hgj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