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5월03일, PM 01:37:10 파리 : 5월03일, PM 08:37:10 서울 : 5월04일, AM 03:37:10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한국필진
·강명구의 마라톤문학 (352)
·국인남의 불편한 진실 (11)
·김영기의 민족생명체 (18)
·김정권(Quentin Kim)의 음악 (6)
·김지영의 Time Surfing (25)
·김해성목사의 지구촌 사랑나누기 (62)
·노이경의 사람과 사람사이 (2)
·박기태의 세계로가는 반크 (114)
·박상건의 삶과 미디어 읽기 (5)
·서경덕의 글로벌코리아 (5)
·소곤이의 세상뒷담화 (166)
·유현희의 지구사랑이야기 (12)
·이래경의 격동세계 (146)
·이재봉의 평화세상 (113)
·이춘호의 이야기가 있는 풍경 (5)
·정진숙의 서울 to 뉴욕 (22)
·최보나의 세상속으로 (7)
·켄의 글쟁이가 키우는 물고기 (6)
·한종인의 자연 메詩지 (165)
·혜문스님의 제자리찾기 (28)
·황룡의 횡설수설 (150)
·흰머리소년의 섞어찌게 세상 (10)
강명구의 마라톤문학
저는 절대로 엘리트 마라토너가 아닙니다. 제가 할 수 있으면 보통 마라토너는 다 할 수 있고 제가 못 해도 다른 마라토너들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못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시작도 못하는 것이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시작을 하는 거지요.

총 게시물 352건, 최근 0 건 안내 RSS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단둥에서 만난 ‘무오 독립선언’

유라시아의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126
글쓴이 : 강명구 날짜 : 2018-11-04 (일) 00:30:45

13094208_947930761971865_5637958189738312361_n.jpg

 

 

내가 1년여 전 네덜란드의 헤이그를 출발할 때 나는 내가 과연 내가 단둥(丹東)까지 무사히 도착할 수 있을까 내 자신도 확신을 갖지 못했다. 그러나 내가 단둥에 무사히 도착한다면 난 분명히 신의주를 통과하여 평양에서 멋진 밤을 며칠 보내고 판문점을 통해서 마치 내가 큰일을 한 사람인양 의기양양하게 광화문으로 들어설 것을 믿어 의심치 않았다.


13413089_974501462648128_832944266078195100_n.jpg

44930612_1831415246956741_973299147585093632_n.jpg

 

내 안에 있는 모든 기 다 쏟아 부어 천신만고(千辛萬苦) 끝에 여기까지 오는 것은 성공했는데 오히려 자신했던 북 통과가 압록강가의 안개 속처럼 한치 앞도 내다볼 수가 없게 되었다. 나는 압록강 앞에서 울보가 되었다. 저 너머를 바라보면 동공에 힘이 빠지고 눈물이 자꾸 난다. 아직도 가야할 길이 남아있는데 끝없이 달릴 것 같은 내 발걸음이 여기서 잦아드는 게 안타깝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저 강 너머 안개 속에 떠오르는 태양처럼 저 강 너머로부터 세계사적인 대전환기의 기운이 솟아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용의 입에 물린 여의주 같은 붉은 해가 매일 아침 한반도에서 넘어온다. 저 상서로운 기운은 극과 극의 모순을 극복하고 모든 이질적인 것들을 아무르는 상생과 화합, 공존과 번영의 새아침을 열 것이다. 희망의 빛이 한반도로부터 솟아오르고 있다.


44927049_1826804877417778_7744507856451272704_n.jpg

44842612_1826805117417754_4787673076475101184_n.jpg

위화도의 해돋이

 

내가 유라시아를 달려서 횡단한 것은 무한 속도 경쟁을 벌이는 현대문명에 반기(反旗)를 든 것이다. 나는 유럽이 시작한 비정한 현대문명에 맞서서 유럽의 끝에서부터 한발자국씩 뚜벅이로 달려왔다. 차갑고 냉정한 세상을 달리면서 따뜻한 미래를 꿈꾸며 설계하였다. 압록강 앞에 서서 이제 아시아의 시대가 천천히 그러나 확연하게 다가오는 것을 가슴으로 느낀다. 그 시대는 한국의 통일에서 출발하는 멋진 마라톤 대회 같은 것이 될 것이다.

 

무한 속도 경쟁을 벌이는 현대문명에 반기를 들고 유라시아대륙을 오롯이 달려서 왔다. 대량생산, 중앙집권, 속도 경쟁 등 개인의 개성과 삶은 안중에도 없었던 시대의 종말을 고하는 종을 치기위해 달려왔다. 거대한 제국의 종말은 한반도의 평화를 막지 못하는 지점에서 시작되고, 세계의 평화는 한반도로부터 시작될 것이다. 아시아의 시대는 아직도 서슬이 시퍼런 서구 제국주의의 시대를 떠나보내고 함께 나누는 전쟁이 없는 평화의 시대일 것이다.

 

이곳 만주 땅은 우리의 저항 정신이 곳곳에 깃든 땅이다. 이곳에 20여 일 머물면서 나는 그 옛날 거의 독립군을 챙겨주 듯한 교민들의 대접을 받았다. 압록강 신교가 내려다보이는 이성림씨 집에서 머물 때는 이웃에 살고 계시는 이진숙 교수님이 불고기 등 때때로 먹을 것을 바리바리 싸다 주시고 단둥 철교 근처의 민박집으로 옮기고서는 이곳 20여 년 전 단둥으로 와서 식당을 9개나 경영하는 성공을 이룬 백종범 사장의 식당에서 끼니를 해결하고 좋은 사람들도 소개시켜주어 만나기도 했다.


45057814_1834531883311744_4681200192962166784_n.jpg

 

나는 매일 아침 압록강변을 달리면서 동방에서 떠오르는 태양을 만난다. 이곳 단둥에는 수많은 조선족과 2만여 명에 달하는 북한 사람들을 만난다. 대부분 그들은 북과의 교역을 통해서 생업을 이어가는데 경제제재로 힘들어한다. 며칠 전 점심식가를 같이한 조선족 여자 분은 신의주에 전자제품 공장을 하는데 요즘 물건 반입이 잘 안 돼 죽을 지경이라고 한다. 그러나 단둥과 신의주를 잇는 압록강 철교는 요즘 다시 조금씩 부산해지고 있다고 한다. 아침 10시 즘이 제일 분주하다는데 이 때 나가보면 북으로 들어가는 화물차가 줄지어 있다.


44904976_1826805057417760_554308436272087040_n.jpg

 

여기서 옌벤 대학에 근무하는 노귀남 교수를 만나고 백두산 볕 좋은 자리를 잡아 13년 전 집을 짓고 단군할아버지를 모신다는 분을 만났다. 나는 그들을 통해 잊혀진 독립선언 무오독립선언(戊午獨立宣言)’을 만났다. ‘무오독립선언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나도 그전에 무오독립선언을 만나지 못했다. 만났다고 해도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가는 명동거리에서 스쳐지나가듯 만나서 잘 알지 못한다.

 

내가 잘 알지 못하듯 학자들도 잘 알지 못한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대부분 191921일 발표됐다고 나온다. 1919년은 기미년(己未年)이다. 노귀남 교수에 의하면 1918년이 맞고 당시 해외에 뿔뿔이 흩어져있던 39명의 서명인들과 당시의 통신이나 교통 사정상 어느 한자리에 모이거나 연락할 수가 없어서 날짜가 정확하게 서명되지 않았다고 한다. 1918년 무오년에 이 독립선언서가 발표되었다면 올해가 100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이다.

 

191811월로 추정되는 어느 날 만주 길림성(吉林省)에서는 무오독립선언이 발표되자 만주독립운동가와 암암리에 연락을 하던 유학생들이 영향을 받아서 28일 일본 도쿄에서 2.8 독립선언이 발표된다. 독립운동가 39인이 서명한 대한독립선언서이다. 1910년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제점령하면서 대부분의 독립운동가들은 해외로 나가 독립운동을 하기 시작했다. 당시 문장가로 이름 높던 조소앙 선생이 초안을 작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조소앙은 1917년에도 독립운동 진영의 단결을 호소하는 대동단결선언을 발표한 적이 있다.


20245583_1339887959442808_596277776877181570_n.jpg

 

이 무오독립선언은 조소앙, 박은식, 신채호, 김규식,박용만, 박은식, 김좌진, 김교헌, 김규식, 이상용, 여준, 이동녕, 김동상, 류동열, 이승만, 이시영, 신채호, 안창호, 허혁 등 39명의 이름만 대면 알만한 쟁쟁한 인물들이 조국의 광복과 독립을 최초로 선언을 한 것이다. 독립운동사 연구자들이 특히 높이 사는 건 선언서의 내용이다. 3·1 독립선언이나 2·8 독립선언에 비해 민족의 대동단결을 주장하고, 훨씬 신랄하게 일제의 침략을 비판하고 더 선명하게 독립의지를 표출했으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장투쟁 노선을 명확하게 제시했기 때문이다.

 

44825735_1826805197417746_2655590829011238912_n.jpg

 

가을잎에 물든 요녕 대학교 교정

 

 

내용의 일부는 이렇게 적혀있다. “궐기하라 독립군! 한번 죽음은 사람의 면할 수 없는 바인즉, , 돼지와도 같은 일생을 누가 원하는 바이리오, 살신성인(殺身成仁)하면 2000만 동포와 동체로 부활할 것이니 일신을 어찌 아낄 것이며 집안이 기울어도 나라를 회복하면 삼천리 옥토가 자기의 소유이니 일가를 희생하라.” 이 투쟁정신이 훗날 청산리 전쟁이나 봉오동 전투 등 동북지역 무장독립투쟁의 빛나는 성과로 이어지는 그 출발점이 되었다고 평가한다.

 

이곳에서 많은 좋은 사람들을 만난다. 좋은 만남은 언제가 좋은 영향을 가져다준다. 단둥에서 만난 무오독립선언은 첫눈에 눈을 번쩍 뜨게 하는 매력을 가졌다. ‘무오독립선언서는 우리 민족이 우리나라를 되찾으려면 민족이 대동단결해야 함을 강조하고 문장은 단호하다. 맨몸을 던져서라도 독립을 되찾자고 한다. 세계사적인 대 전환기에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 순국선열들의 얼을 되살리는 일부터이다.

 

 

 

44959704_1833560710075528_2656044751219851264_n.jpg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강명구의 마라톤문학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gmg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