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
사서
孔子, 伏生. <尙書>.
孔子. <論語>.
金富軾. <三國史記>.
桂延壽. <正本桓檀古記>.
呂不韋.<呂氏春秋>.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2018.
劉安. <淮南子>卷4,<墬形訓>. 유기백과,자유적도서관, 2018.https://zh.wikisource.org/wiki/
馬自毅, 顧宏義 注譯. <新譯 百家姓>.
馬融撰, <馬季長集>
李賢 等, <明一統志>卷5. <四庫全書>
歐陽修, 宋祁.<新唐書>. 宋, https://ctext.org/wiki.pl?if=182378.
陶宗儀作. <說郛>. 元.
杜佑. <通典>. 唐.
樂史. <太平寰宇記>. 北宋.
羅泌. <路史>. 宋.
班固. <漢書>. 東漢.
房玄齡. <晉書>. 唐.
范曄. <後漢書>. 宋.
裵駰. <史記集解>. 宋.
司馬遷. <史記>. 西漢. 下<朝鮮列傳>. 臺灣商務印書館朕份有限公司, 1931.
<說略>. <四庫全書>
張守節. <史記正義>. 唐.
張延玉等. <明史>. 淸.
鄭麟趾等. <高麗史>, 1451.
陳壽. <三國志>. 晉.
徐亮之撰. <中國史前史話>. 亞洲出版社, 1955.
阿桂等. <欽定滿洲源流考>. 淸.
姚思廉. <梁書>. 唐.
劉昫等. <舊唐書>. 後晉.
李吉甫撰. <元和郡縣圖志>[唐]. <中國古代地理總志叢刊>. 中華書局, 2005.
李陌, <太白逸史>. 弘益人間財團, 2018.
李延壽. <南史>. 唐.
李延壽. <北史>. 唐.
李泰. 孫星衍 編著. <括地志>. 淸, https://baike.baidu.com/itm.
林甫. <元和姓纂>. 唐.
魏徵等. <隋書. 唐.
張岱. <瑯環文集>卷1. 石匱室自序. 明.
鄭樵. <通志>. 南宋.
趙曄. <吳越春秋>. 東漢.
陳橋驛, 葉光廷 注譯. <新譯水經注 (中)>. 三民書局服彬有限公司, 2011.
脫脫. <遼史>. 元.
脫脫. <金史>. 元.
脫脫(托克托等). <宋史>. 元.
畢長襆. <中國人種北來說>
<漢書/地理志>. http://www.guoxue.com/shibu/24shi/hansu/hsu-039.htm.
韓嬰. <韓詩外傳>. 前漢.
許愼. <說文解字>. 後漢.
和珅. <大淸一統志>. 淸.
鄭振鐸編. <大元大一統志>.
郭璞. <山海經>. <四庫全書>.
章潢, <圖書編>. <四庫>.
<元史>.<四庫>.
<周禮/職方氏>. <四庫>.
<管子>. <四庫>.
<文獻通考>. <四庫>.
<畿輔通志>. <四庫>.
<欽定盛京通志>. <四庫>.
<慈湖詩傳>. <四庫>.
<詩集傳名物鈔>.<四庫>.
<六家詩名物疏>.<四庫>.
<詩傳名物集覽>.<四庫>.
<虞東學詩>. <四庫>.
<春秋釋例>. <四庫>.
<論語集解義疏>.<四庫>.
<論語注疏>.<四庫>.
<四書纂疏>.<四庫>.
<四書通>.<四庫>.
<論語集註通證>. <四庫>.
<論語集註大全>.<四庫>.
<山西通志>.<四庫>.
<甘肅通志>.<四庫>.
<困學紀聞>.<四庫>.
<舊五代史>. <四庫>.
<名義考>.<四庫>.
<初學記>. <四庫>.
<太平御覽>. <四庫>.
冊府元龜. <四庫>.
<駢志>. <四庫>.
<山堂肆考>. <四庫>.
<御定淵鑑類函>. <四庫>.
<離騷草木疏>. <四庫>.
<明文海>. <四庫>.
<御選古文淵鑒>. <四庫>.
<記纂淵海>. <四庫>.
<春秋本義>. <四庫>.
<春秋辯義>. <四庫>.
<大事記續編>. <四庫>.
<欽定重訂大金國志>. <四庫>.
<黃氏日抄>. <四庫>.
<輿地廣記>. <四庫>.
<欽定四庫全書總目>. <四庫>.
<春秋明志錄>. <四庫>.
<論語類考>. <四庫>.
<欽定續通志>. <四庫>.
<欽定續文獻通考>. <四庫>.
<五禮通考>. <四庫>.
<四書釋地>. <四庫.
<水經注集釋訂訛>. <四庫>.
<水經注釋>. <四庫>.
<水經注箋刊誤>. <四庫>.
<武經總要>. <四庫>.
<隋文紀>. <四庫>.
<遼史拾遺>. <四庫>.
<歷代名臣奏議>. <四庫>.
<營平二州地名記>. <四庫>.
<唐會要>. <四庫>.
<皇朝文獻通考>. <四庫>.
<欽定續通典>. <四庫>.
<日知錄>. <四庫>.
<海錄碎事>. <四庫>.
<霽山文集>. <四庫>.
<貞白遺稿>. <四庫>.
<泊菴集>. <四庫>.
<御製詩集>. <四庫>.
<欽定四庫全書考證>. <四庫>.
<尙書講義>. <四庫>.
<夏氏尙書詳解>. <四庫>.
<禹貢說斷>. <四庫>.
<詩地理攷>. <四庫>.
<周禮綱目>. <四庫>.
<三傳析諸/穀梁析諸>. <四庫>.
<經典釋文>. <四庫>.
<六經奧論>. <四庫>.
<古經解鉤沉>. <四庫>.
<爾雅注>. <四庫>.
<通鑑地理通釋>. <四庫>.
<皇王大紀>. <四庫>.
<大事記/大事記解題>. <四庫>.
<繹史>. <四庫>.
<畿輔通志>. <四庫>.
<說苑>. <四庫>.
<大學衍義補>. <四庫>.
<藝文類聚>. <四庫>.
<帝王經世圖譜>. <四庫>.
<群書考索>. <四庫>.
<天中記>. <四庫>.
<廣博物志>. <四庫>.
<御定分類字錦>. <四庫>.
<書蔡氏傳旁通>. <四庫>.
<禹貢指南>. <四庫>.
<禮書綱目>. <四庫>.
<周官集注>. <四庫>.
<周禮纂訓>. <四庫>.
<欽定周官義疏>. <四庫>.
<周禮註疏刪翼>. <四庫>.
<周禮述註>. <四庫>.
<周禮全經釋原>. <四庫>.
<周禮傳>. <四庫>.
<周禮集說>. <四庫>.
<周禮訂義>. <四庫>.
<周官總義>. <四庫>.
<周官新義>. <四庫>.
<周禮詳解>. <四庫>.
<周禮註疏>. <四庫>.
<禹貢錐指> 卷2 <四庫>.
<陳氏尙書詳解>. <四庫>.
<逸周書>. <四庫>.
<山東通志>. <四庫>.
<玉海>. <四庫>.
<春明夢餘錄>. <四庫>.
<唐開元占經>. <四庫>.
<欽定授時通考>. <四庫>.
<讀書劄記>. <四庫>.
<元朝典故編年考>. <四庫>.
<歷代帝王宅京記>. <四庫>.
<春秋分記>. <四庫>.
<經稗>. <四庫>.
<十一經問對>. <四庫>.
<書纂言>. <四庫>.
<河南通志>. <四庫>.
<六書故>. <四庫>.
<春秋左傳注疏>. <四庫>.
<稗編>. <四庫>.
<行水金鑑>. <四庫>.
<呂氏春秋集解>. <四庫>.
<春秋輯傳>. <四庫>.
<資治通鑑>. <四庫>.
<尙書全解>. <四庫>.
<尙書說>. <四庫>.
<尙書精義>. <四庫>.
<尙書註疏>. <四庫>.
<胡氏尙書詳解>. <四庫>.
<尙書表注>. <四庫>.
<尙書纂傳>. <四庫>.
<尙書句解>. <四庫>.
<尙書日記>. <四庫>.
<尙書埤傳> <書經考異>. <四庫>.
<尙書七篇解義>. <四庫>.
<古今姓氏書辯證>. <四庫>.
<尙書古文疏證>. <四庫>.
<禹貢長箋>. <四庫>.
<尙書稗疏>. <四庫>.
<詩經稗疏>. <四庫>.
<讀禮通考>. <四庫>.
<古微書>. <四庫>.
<毛詩古音攷>. <四庫>.
<前漢書>. <四庫>.
<班馬異同>. <四庫>.
<三國志/魏志>. <四庫>.
<魏書>. <四庫>.
<通鑑地理通釋>. <四庫>.
<大事記續編>. <四庫>.
<御批歷代通鑑輯覽>. <四庫>.
<通鑑紀事本末>. <四庫>.
<郝氏續後漢書>. <四庫>.
<後漢書補逸>. <四庫>.
<兩漢詔令>. <四庫>.
<兩漢博聞>. <四庫>.
<欽定熱河志>. <四庫>.
<欽定皇輿西域圖志>. <四庫>.
<陝西通志>. <四庫>.
<漢會要>. <四庫>.
<文獻通考>. <四庫>.
<七國考>. <四庫>.
<皇朝通典>. <四庫>.
<明集禮>. <四庫>.
<萬壽盛典初集>. <四庫>.
<御批資治通鑑綱目>. <四庫>.
<武經摠要> 前集卷. <四庫>.
<武編> 前集. <四庫>.
<管子補注>. <四庫>.
<天原發微>. <四庫>.
<靈臺秘苑>. <四庫>.
<習學記言>. <四庫>.
<玉芝堂談薈>. <四庫>.
<北堂書鈔>. <四庫>.
<群書考索>. <四庫>.
<稗編>. <四庫>.
<經濟類編>. <四庫>.
<同姓名錄>. <四庫>.
<御定佩文韻府>. <四庫>.
<御定韻府拾遺>. <四庫>.
<格致鏡原>. <四庫>.
<東坡全集>. <四庫>.
<柯山集>. <四庫>.
<陵川集>. <四庫>.
<至正集>. <四庫>.
<尙絅齊集>. <四庫>.
<弇州四部稿>. <四庫>.
<宋文鑑>. <四庫>.
<三國志文類>. <四庫>.
<西漢文紀>. <四庫>.
<東漢文紀>. <四庫>.
<文章辨體彙選>. <四庫>.
<漢魏六朝百三家集>. <四庫>.
<御選古文淵鑒>. <四庫>.
<御定歷代賦彙>. <四庫>.
<御定宋金元明四朝詩/御選元詩>. <四庫>.
<宋元詩會>. <四庫>.
<古文雅正>. <四庫>.
<春秋分記>. <四庫>.
<書傳>. <四庫>.
<墨子>. <四庫>.
<孟子>. <四庫>.
<鄭開陽雜著>. <四庫>.
<宣和奉使高麗圖經>. <四庫>.
<五代會要>. <四庫>.
<尙書地理今釋>. <四庫>.
<攻媿集>. <四庫>.
<朝鮮史略>. <四庫>.
<水道提綱>. <四庫>.
<朝鮮賦>. <四庫>.
<朝鮮志>. <四庫>.
<歷代建元考>. <四庫>.
사전
劉熙. <爾雅>. 漢.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永平府/4692407?fr=aladdin#1
<中國古代地名大詞典>,中華博物,www.gg.art.com.
臧勵龢等. <中國古今地名大辭典>. 尙務印書館, 1982.
魏嵩山 主編. <中國歷史地名大辭典>. 一廣東敎育出版社, 1995.
<漢韓大字典>. 民衆書林 編輯局. 民衆書林, 2000.
Sir M. Monier-Williams. <A Sanskrit English Dictionary>. Naraj Books, 2012.
지도
<大淸廣輿圖>. 1785. http://dl.ndl.go.jp/info:ndljp/pid/2543120
<中國交通地圖冊> 西安地圖出版社編制 出版, 責任編輯 魏淑峰, 孫永剛, 2009年.
<中國大陸現況圖>. 金蘋企業有限公司, 發行人 徐金平.
<中國歷史地圖集>. 地圖出版, 潭其驤主編, 1982年.
<中國人民共和國分省地圖集>. 中國地圖出版, 1987年.
<中國地圖>. 中國地圖出版社編制出版發行, 責任編輯 張紅.
<中國地圖>. 珊如圖書出版有限公司, 2006年.
<中國地圖>. 山東省地圖出版社編制 出版, 山東省新華書店發行.
<中國地圖集>. 中國地圖出版社, 2007年.
<中國地圖冊>. 山東省地圖出版社, 2009年.
<新編實用中國地圖冊>. 中國地圖出版社, 張武氷, 晉淑蘭 編著, 2009年.
<中華人民共和國地圖>. 成都地圖出版社編制 出版, 責任編輯 程海港.
<中華人民共和國地圖>. 成都地圖出版社編制 出版, 責任編輯 張國勇, 2005年.
<中國國家地理>. 中國地圖出版社, 2018.
단행본
葛洪著, 張泳暢 편역. <抱朴子>. 자유문고, 1989.
강경범외 24인. <시문을 따라 떠나는 중국문학유람>. 차이나 하우스, 2008.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사상과 학문세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강필선외 20인저. <한국실학사상사>. 한국철학사 연구회, 2008.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엮음. <실학자들의 한국고대사 인식>. 경인문화사, 2012.
김영돈. <고조선과 홍익인간>. 보경문화사, 2000.
김영주. <한민족의 뿌리와 단군조선사>. 대원출판사, 2004.
김재원. <단군신화의 신연구>. 탐구당, 1981.
김정배. <한국 고대의 국가 기원과 형성>. 고려대출펀부, 1986.
김종서. <신화로 날조되어온 신사·단군조선사 연구>. 한민족역사연구회, 2003.
김철준. <한국고대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김태영. <동이배달한민족사>. 소호출판사, 2013.
_____. <한자는 동이배달한민족의 글자다>. 세계출판사, 2016.
_____. <동이배달한민족사>(개정증보). 세계출판사, 2019.
_____. <제도권 조선 식민 반도 사학계의 통설을 뒤집다>. 세계출판사, 2020.
_____. <사근경: 역사는 모든 학문의 뿌리>. 세계출판사, 2021.
노이점 지음. 김동석 옮김. <열하일기와의 만남 그리고 엇갈림, 수사록>.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5.
노태돈.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단군학회. <단군학 연구>. 단군학회, 2008.
大野勃著, 高東永 譯註. <檀奇古史>. 한뿌리, 1999.
동북아역사재단. <고조선·단군·부여>. 동북아역사재단, 2004.
_____. <고조선의 역사를 찾아서>. 학연문화사, 2007.
_____. <고조선사 연구 100년>. 학연문화사, 2009.
리지린. <고조선 연구>. 한뿌리, 1993.
박성수. <단군기행>. 교문사, 1988.
박지원저. 고미숙외 2인 옮김. <세계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 상. ㈜그린비출판사, 2009.
朴趾源. <熱河日記>. 민족문화추진회, 1966.
朴趾源. 리상호 옮김. <열하일기> 상. 도서출판 보리, 2004.
사회과학연구원역사연구소. <조선 고대사>. 한마당, 1989.
사회과학출판사. <고조선 력사개관>. 중심, 2001.
성삼제. <고조선, 사라진 역사>. 동아일보사, 2006.
신용하. <고조선 국가형성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2010.
신채호지음. <조선상고사>. 일신서적, 1969.
안호상. <겨레 역사 6천년>. 기린원, 1992.
_____. <배달·동이는 동아문화의 발상지>. 한뿌리, 1992.
燕巖朴趾源原作筆寫本叢書 6 (熱河日記 1, 2, 3). 문예원, 2012.
연암박지원저. 김문수 엮음. <열하일기>. 돋을새김, 2008.
王壽波著, 한정선역. <사기인문학>. 휘닉스드림, 2013.
柳正基 감수. <四書三經>. 明文堂, 1994.
윤내현. <한국고대사 신론>. 일지사, 1986.
_____. <한국 고대사>. 삼광출판사, 1990.
_____. <고조선 연구>. 일지사, 1994.
이강민. <대한국 고대사>. 삼양, 2004.
이덕일, 김병기.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역사의 아침, 2006.
이도학. <한국고대사 그 의문과 진실>. 김영사, 2001.
이병선. <한국고대 국명 지명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8.
이상시. <단군 실사에 관한 문헌 고증>. 가나출판사, 1987.
이일봉. <實證한단고기>. 정신세계사, 1998.
李重宰 編著. <山海經>. 古代史, 2005.
이형구. <단군과 고조선>. 살림터, 1995.
이형석, 이종호. <고조선 신화에서 역사로>. 우리책, 2009.
일련 지음. 김원중 옮김. <三國遺事>. ㈜을유문화사, 2005.
임승국 번역·주해. <한단고기>. 정신세계사, 1991.
정인보. <조선사 연구>. 신문사, 1947.
조인성, 송호정, 문창호, 김현숙, 채미화, 김종복 등 저. 경기문화재단실학박물관 엮음. <실학자들의 한국고대사 인식>. 경인문화사, 2012.
曾先之原著, 金光州編譯. <中國의 歷史>. 한국출판공사, 1984.
천관우. <한국상고사의 쟁점>. 일조각, 1975.
_____. <고조선사, 삼한사 연구>. 일조각, 1989.
최종철. <환웅·단군 9000년 비사>. 미래문화사, 1995.
최태영. <한국상고사>. 유풍출판사, 2000.
_____. <한국고대사를 생각한다>. 눈빛, 2002.
한국철학사 연구회 지음. <한국실학사상사>. 도서출판 다운샘, 2002.
허경진저. <열하일기>. ㈜현암사, 2009.
논문
(국내)
공석구. <中國歷史地圖集의 戰國時期 燕 長城 고찰>. <白山學報>, Vol.- No.99, 2014.
金南中. <衛滿朝鮮의 領域과 王儉城>. <韓國古代史硏究>, Vol.22 No.-, 2001.
_____. <위만조선의 성립과 발전과정 연구>(국내박사). 서강대학교, 2013.
_____. <險瀆과 고조선의 관계>. <한국사학보>. 고려사학회, Vol.- No.61, 2015.
_____. <안악군 당장경 유적과 단군 전승>. <東北亞歷史論叢>. 동북아역사재단, Vol.- No.65, 2019.
김병준. <낙랑군 연구의 새로운 이해 틀, ‘낙랑인’-오영찬의 낙랑군 연구-고조선계와 漢系의 종족 융합을 통한 낙랑인의 형성-(사계절, 2006)을 읽고->. <한국고대사학회>Vol.0 No.48, 2007.
金琫永. <檀君神話의 硏究>. <言語學論叢>. 朝鮮大學校 國語國文學硏究所, Vol.8 No.-, 1968.
김선호. <북한의 통일전선 변화와 북조선인민집단군총사령부 간부정책>. <한국학>. 한국학중앙연구원, Vol.41 No.-, 2018.
김성한. <한국 고대사 속의 재난과 이동-고조선의 영역 변천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Vol.69 No.-, 2018.
김성환. <강화 단군전승유적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제언>. <동아시아고대학>. 동아시아고대학회, Vol.0 No.27, 2012.
김영준. <고구려 패수희(浿水戲)에 대한 고찰>. <한국학연구>, Vol.31 No. -, 2013.
김종서. <古朝鮮과 漢四郡의 位置 比定 硏究>(국내박사). 중앙대학교, 2005.
_____. <청대 도로와 현대 고속도로로 고증한 고조선과 낙랑군 실제 위치>.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36 No.-, 2017.
김진경. <갈석산(碣石山)의 위치 비정(比定)에 관한 연구>. <선도문화> Vol.15 No.-,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대학교, 2013.
_____. <고조선의 도읍지, 건국(建國) 년도, 국호 등에 관한 고찰>. <선도문학>.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Vol.16 No.-, 2014.
김철웅, <조선전기의 塹城醮禮>. <道敎文化硏究>. 한국도교문화학회, Vol.28 N0.-, 2008.
金泰瑛. <碣石山의 位置 硏究>. 江原大, 2019.
_____. <高句麗의 遼東 遼西 位置에 대한 小考>(제1집). 세계출판사, 2019.
_____. <高句麗의 鴨綠水 位置 硏究>(제2집). 세계출판사, 2019.
_____. <孤竹國의 位置 硏究>(제3집). 세계출판사, 2019.
_____. <浿水의 位置 硏究>(제4집). 세계출판사, 2019.
_____. <碣石山의 位置 硏究>(제5집). 세계출판사, 2019.
_____. <高句麗의 遼東 位置 硏究>(제7집). 세계출판사, 2020.
_____. <幽州와 營州의 位置 硏究>(제8집). 세계출판사, 2020.
_____. <漢四郡의 虛構性과 그 位置 硏究>(제9집). 세계출판사, 2020.
_____. <고구려의 압록수 위치 연구(개정)>(제11집). 세계출판사, 2021.
_____. <<봉천통지>가 기록한 기주의 허구성 연구>(제12집) 서울: 세계출판사, 2021,
나희라. <고구려 패수에서의 의례와 신화>. <史學硏究>, Vol.- No. 118, 2015.
盧泰敦. <古朝鮮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韓國史論>, Vol.23 No.-, 1990.
______. <고조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상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1)>. 한국상고사학회, 1998.
도수희. <벌나(平那·平壤)와 아사달(阿斯達·九月山)에 대하여>. <인문언어>. 국제언어인문학회, Vol.19 No.1, 2017.
도유호. <왕검성의 위치>. <문화유산>, 1962.
량대언. <요하(遼河) 문명론(文明論)과 홍산문화(紅山文化)의 고찰(考察)>. <국학연구총론>. 택민국학연구원, Vol.5 No.-, 2010.
문안식. <고조선의 遼西지역 진출과 토착사회의 동향>. <고조선 단군학>, - 36, http://gojoseondangunhak.com.
문창로. <북한의 고대사 인식과 연구경향>. <한국학논총>.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Vol.29 No.-, 2007.
_____.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삼한 연구>. <한국고대사연구>. 한국고대사학회, Vol.0 No.62, 2011.
_____. <후석 천관우의 고조선사·삼한사 연구>. <白山學報>. 백산학회, Vol.- No.107, 2017.
朴光敏, 김병헌. <<三國遺事> ‘古朝鮮’ 編 疆域과 地名의 위치 辨證 및 音韻學的 考察>.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학술대회>.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Vol.2014 No.1, 2014.
박광민. <‘고조선 편’의 내용과 ‘고조선’ 지명에 대한 고찰과 변정(辨正)>.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Vol.16 No.2, 2017.
박광수. <대종교의 단군신화 수용과 제천의례의 체계연구>. <宗敎敎育學硏究>. 한국종교교육학회, Vol.29 No.-, 2009.
박대재.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5, 2017.
_____. <고조선사 체계의 재인식>. <한국학논총>.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Vol.50 No.-, 2018.
박선미. <고조선의 歷史地理 비정에 대한 계보적 검토>. <白山學報>, Vol.-No.109, 2017.
朴仙姬. <복식으로본 고조선문명과 고대사 체계의 재정립>.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26 No.-, 2012.
박성현.<<한서> 지리지 낙랑군 3수의 비정에 대한 검토>. <韓國古代史硏究>, Vol.79 No.-, 2015.
박인호. <<동시찬요>에 나타난 오운의 역사지리인식>. <퇴계학과 유교문화>.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Vol.40 No.-, 2007.
박준형.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史學硏究>, Vol.- No.108, 2012.
______. <위만조선의 영역과 인구>. <白山學報>, Vol.- No.99, 2014.
방석종. <단군설화의 역사비평적 해석 – 신관을 중심으로 ->.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10 No.-, 2004.
_____. <단군설화의 역사 비평적 해석>.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12 No.-, 2005.
배현경. <滄江 金澤榮의 歷史認識: 歷史輯略에 나타난 古代史 認識을 中心으로>(국내석사). 이화여자대학교, 1997.
복기대. <고구려 평양위치 관련 기록의검토-일본학자들의 장수왕 천도설에 대한 재검토->. <日本文化學報>, Vol.69 N0.-, 2016.
_____. <시론 강화도 塹城壇 유적을 통해 본 단군관련 제사유적>. <동아시아고대학>. 동아시아고대학회, Vol.0 No.23, 2010.
서경요. <단군설화(檀君說話) 생명의식(生命意識) 연구(硏究)>. <東洋哲學硏究會>. 東洋哲學硏究, Vol.50 No.-, 2007.
서영대. <中國 黑龍江省 郡力 바위그림과 단군신화>.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34 No.-, 2016.
송호정. <고조선 국가형성과정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대, 1994.
_____. <요동-서북한 지역에서 고조선의 국가형성>. <역사와 현실> 21. 역사비평사, 1996.
_____.<실학자들의 역사지리관과 고조선 한사군 연구>. <한국고대사연구> Vol.62 No-, 2011.
_____. <고조선과 낙랑의 북한문화 유산>. <한국고대사 연구> 25. 한국고대사학회, 2002.
_____. <요동-서북한 지역에서 세형동검 문화의 발생과 고조선의 국가형성 연구>. <한국상고 사학보> 40. 한국상고사학회, 2003.
_____.<大陵河流域 殷周 靑銅禮器 사용 집단과 箕子朝鮮>.NRF KRM(Korean Research Memory), 2006.
_____. <청동기시대 대동강 유역 팽이형토기문화와 고조선>. <東洋學>.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Vol.55 No.-, 2014.
_____. <古朝鮮의 位置와 中心地 문제에 대한 고찰>. <韓國古代史硏究>, Vol.-109, 2017.
申景濬, 疆界考, 1756.
신용하. <고조선 국가의 遼東·遼西 지역으로의 발전>. <고조선 단군학> - 25. 단군학회, 2011.
_____. <고죽국의 성립과 고조선 후국의 지위>.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28 No.-, 2013.
신운용. <조선시대의 ‘패수(浿水)’ 논쟁 그 의미>. <국학연구>. 국학연구소, Vol.20 No.-, 2016.
안동준. <신선사상 기원설에 관한 비판적 검토 - ‘황제동도설’을 중심으로 ->.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43 No.-, 2020.
안정복. <지리고>. 『동사강목』 附下.
오강원. <창려현 위치에 관한 일고찰 – 고조선 위치문제와 관련하여 ->. <청계사학> 12. 청계사학회, 1997.
_____. <古朝鮮의 浿水와 沛水>. <江原史學>, Vol.13 No.-, 1998.
吳長錄. <三國遺事 古朝鮮條 內容에 대한 考察>(국내석사). 麗水大學校, 2005.
_____. <三國遺事 古朝鮮條 內容에 대한 考察>.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국내석사), 2005.
오현수. <<회남자> 기재 ‘갈석’과 ‘요수’를 통해본 전기 고조선의 중심지>, <정신문화연구> Vol.35 No.4, 2012.
오현수. <<사기> <조선열전> 기재 ‘秦故空地上下鄣’에 대한 검토>. <한국사학보>, Vol.- No.70, 2018.
왕희범. <단군조선 형성의 신화적 반영 연구>(국내석사). 전남대학교, 2016.
우미영. <억압된 자기와 고도(古都) 평양의 표상>. <동아시아문화연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Vol.50 No.-, 2011.
우장문.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내용 분석 – 선사 문화와 고조선을 중심으로 ->.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43 No.-, 2020.
윤내현. <고조선의 도읍 위치와 그 이동>.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7 No.-, 2002.
_____. <고조선의 실존문제>.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25 No.-, 2011.
윤명철. <檀君神話의 해석을 통한 장군총의 성격 이해>.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19 No.-, 2008.
_____. <해양질서의 관점으로 본 王險城의 성격과 위치>.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33 no2015.
윤상열. <고구려 世界觀念의 확립과정 탐구>. <고구려발해연구>. 고구려발해학회, Vol.41 No.-, 2011.
윤창열. <산동지역의 八神祭에 관한 硏究>. <세계환단학회지>. 세계환단학회, Vol.2 No.1, 2015.
윤희면. <한백겸의 동국지리지>. <역사학보> 93, 1982.
이경미. <제국일본 속 식민지조선의 민족담론>(국내박사). 서울대학교, 2019.
이군선. <洪敬謨가 본 古都 平壤과 그 遺蹟>. <동양한문학연구>.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Vol.39 No.-, 2014.
이도상. <고조선관련 국사교과서 내용분석>.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20 No.-, 2009.
이덕일. <낙랑군(樂浪郡) 조선현(朝鮮縣)의 위치: 낙랑군 조선현의 평양설 및 대동강설 비판>. <역사와융합>, Vol.1 No.1, 2017.
이명종. <17,18세기 존선에서 “만주=故土” 의식의 출현과 전개>. <동아시아 문화연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Vol.58 No.-, 2014.
이병두. <중국고대 군현 위치고-요동·낙랑·현토에 대하여->(국내석사). 단국대학교대학원, 1988.
李勇. <廣開土大王碑文의 吏讀的 要素>. <口訣硏究>, Vol.17 No.-, 2006.
이인철. <일제의 한국사 왜곡이 국사교과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국내박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2.
이종성. <근대와 만남 한국의 도교 – 이능화 <조선도교사>의 기본입장을 중심으로 ->. <동서철학연구>. 한국동서철학회, Vol.58 No.-, 2010.
李宗勛, 鄭載男. <최근 20년간 中國學界의 古朝鮮에 대한 연구와 과제>. <동아시아고대학>. 동아시아고대학회, Vol.0 No.43, 2016.
이승호. <衛滿朝鮮 시기 濊族 사회의 동향과 滄海郡路 -‘滄海郡 在沃沮說’에 대한 최근 비판의 반론을 겸하여 ->.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45 No.-, 2021.
이일걸. <光復 이후의 漢四郡에 대한 硏究史 考察>. <간도학보>. 간도학회, Vol.3 No.2, 2020.
이형구. <遼西 지방의 고조선>. <고조선 단군학> 18 - . 단군학회, 2008.
李洪甫. <關於“檀君朝鮮”的幾個問題>. <한중인문학 연구>. 중한인문학연구회, Vol.1 No.-, 1996.
임병용. <조선 후기 역사서에 나타난 고조선 인식> - 李種徽의 <東史>를 중심으로 -(국내석사). 연세대학교, 2007.
임상선. <朴殷植의 <渤海太祖建國誌>의 검토>. <韓國史學史學報>. 한국사학사학회, Vol.0 No.10, 2004.
임재규. <갑골 복사(卜辭)·주역 점사(占辭)를 통해 본 단군신화의 천신(天神) 사상>. <민족문화농촌>. 영남대학교 민족문제연구소, Vol.59 N0.-, 2015.
임찬경. <<水經注>를 통한 고구려 평양의 위치 검토>. <국학연구>, Vol.21 No.-, 2017.
장우순,문치웅.<「고대갈석산의위치연구>. <『단군학연구>.고조선단군학회,Vol.38 No.-, 2018.
______. <고대의 요수와 요동>. <단군학연구>.고조선단군학회, Vol.39 N0.-, 2018.
장지화. <광복 이후 초•중학교 국사교과서의 ‘단군조선사’ 분야 개정 및 개정 방향 연구>(국내박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9.
전덕재.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과 과제 –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 <東洋學>.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Vol.72 No.-, 2018.
정재남. <언어로 본 고조선의 영역: 漢代 <方言>에 수록된 朝鮮 • 北燕지역 어휘의 정체성 및 지리적 범위 탐구>.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44 No.-, 2021.
정형진. <<시경> 한혁편의 한후와 한씨조선에 관한 새로운 견해>. <고조선단군학>. Vol.13 No.-, 2005.
조경철. <근대 이전 한국사 속에서의 단군인식>. <韓國思想史學>. 한국사상사학회, Vol.0 No.45, 2013.
조인성. <李丙燾의 韓國古代史硏究-漢四郡⦁三韓의 歷史地理 硏究를 중심으로->.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5, 2009.
趙宰亨. <古朝鮮 地名 ‘浿水’에 대한 考察- 언어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지명학>, Vol.26 No.-, 2017.
조법종. <Main Points of Contention in Terms of the Studies on Tan’gun and Kohoson>. 『Inter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Vol.8 No.-, 2005.
_____.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 검토: 동북공정 전후시기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고려사학회, Vol.- No.25, 2006.
_____. <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 <韓國古代史硏究>. 한국고대사학회, Vol.0 No.61, 2011.
조원진. <고조선의 발전과 대외관계 연구>(국내박사). 세종대학교, 2017.
_____. <북한의 단군민족주의에 대한 검토>.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40 No.-, 2019.
조현설. <조선 초기의 단군신화와 의례의 관계 - <세종장헌대와실록•지리지> 소재 단군신화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한국구비문학회, Vol.0 No.45, 2017.
지양미. <부여 건국과정과 도읍지 위치에 관한 문헌연구>. <선도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Vol.15 No.-, 2013.
천관우. <난하하류의 조선-중국동방주군의 치폐(置廢)와 관련하여->. <사총> 21•22 합집, 1977.
최몽룡. <中國陝西省 神木縣 石峁村의 石茆와 皇城臺 유적: 신화나 전설에서 역사로 진입한 중국의 유적과 檀君朝鮮>. <유라시아문화>. 유라시아문화학회, Vol.3 No.-, 2020.
최봉준. <여말선초 箕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과 조선적 문명론>. <韓國史學史學報>. 한국사학사학회, vol.0 No.31, 2015.
최슬기. <蒼海郡 위치비정의 쟁점과 전제>. <단군학연구>. 고조선단군학회, Vol.44 No.-, 2021.
崔恩亨. <遼陽은 옛 襄平이 아니다>. 백산학회 85호, 2009.
최혜민. <申采浩의 箕子•箕子朝鮮 인식>(국내석사). 경희대학교, 2016.
하윤섭. <조선 후기 단군에 대한 기억의 변화와 그 所因>. <우리문학연구>. 우리문학회, Vol.0 No.38, 2013.
허태용. <朝鮮王朝의 건국과 國號 문제>. <한국사학보>. 고려사학회, Vol.- No.61, 2015.
洪性瑞. <朝鮮時代 陰陽科 地理學 科試科目의 文獻硏究> - <捉脉賦>와 <洞林照膽>을 중심으로 -(국내박사). 嶺南大學校, 2013.
(중국)
孟克托力. <孤竹國釋論>. <中國東北邊疆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Abstract]
A study on the Territory of the Dangunchosun
Kim, Taeyoung
Through examining 84 Korean academic theses written by 12 degree pursuers and 72 non-degree pursuers in connection with the center region of Dangunchosun, we confirmed that the opinions, assumptions, and inferences by these writers were the same as those of four prevailing viewpoints such as center of Yodong, center of the Daedong River, transfer from Yodong to the Daedong River, and center of Yoseo, and they were indeed historically unsupported in terms of the primary and second sour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radicate various existing untrue opinions and establish the territory of Dangunchosun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facts.
The first historical records to clarify locations of geography are 『Sangseo/Ukong』, 『Yeosichunchu/Yoosiram』, 『Hoenamja/Jihyunghoon』, and 『Jurae/Jikbangsi』. Investigating and reviewing all these records, we proved that Giju, Yuju, Yoseo, the Suyang mountain, Gojukguk existed in the southern part of Sanseo province, the so-called the northeast region, where is surrounded by the Yellow River along the 110-degree longitude and 35-degree latitude. We proved, on the basis of 『Suseo』, 『Gudangseo』, 『Sindangseo』, and 『Myoungsa』 that Goguryoe took over the soil of Gojukguk in the southern part of Sanseo province and occupied Pyungyang.
『Rosa』 says that Danhyang, the hometown of Wanggeom Dangun, existed in the neighborhood of the Wangok mountain in the southern part of Sanseo province. The riverhead of the Yae starts from the Wangok mountain. We proved that Yaemackchosun was named after the Yae River and the Yae was also known as many other names such as Younsu, Jaesu, and Paesu. Based on 『Owalchunchu』 and 『Sanhaekyung』, we confirmed that the Wangok mountain was also called as Burusan, Buwoosan, Bubusan, Buhamsan(Bulhamsan), and Bangsan.
The Paesu(Yaesu) begins from the Wangok mountain, flows southeastward and in the east, flows into the Yellow river. 『Sukyung/Sipsamjuji』 recorded that once upon a time, Wiman who was from Youn state went to Chosun, where it was in the west of the Paesu. Dangun’s Wanggeom castle was in Wongok where is in the west of the Paesu, Wangheom castle was in Joyangjin next to the Yellow River, and Pyungyang existed in Imbun city. Accordingly, we proved that the core region of Dangunchosun wa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anseo province and Hanae in the northern region from the Yellow River.
We also clarified that the territory of Dangunchosun covered almost all the land of Asia except for part of Seomseo province where the Ju state occupied. Based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the territory of Dangunchosun was proved as such. Therefore, the distorted and fabricated prevailing opinions by the eastern three countries as well as by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history should be immediately abrogated and new historical facts proven by this writer must be accepted as an established theory.
Key words: Giju, Yuju, Yoseo, Yodong, Hadong, Suyang mountain, Noryong, Yusu(Nanha), Gojukguk, Goguryoe, Wangok mountain, Burusan, Bangsan, Buhamsan, Yaesu, Yaemackchosun, Paesu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김태영의 한민족참역사’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cpk